-
UPDATE
2019.07.12
일본 3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인트(Bitpoint)가 380억 규모의 해킹을 당했다. 거래소는 관련 모든 서비스를 중지했다.
-
2019.05.08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해킹으로 7074개 비트코인(약 480억) 손실.
-
2018.09
일본 자이프, 해킹으로 667억 원 피해, 매각됨.
-
2018.06
한국 빗썸, 악성코드로 추정되는 이메일로 350억 원 피해.
피해는 보상됨.
-
2018.06
한국 코인레일, 악성코드로 추정되는 이메일로 450억 원 피해.
피해는 보상됨.
-
2018.02
이탈리아 비트그레일, 해킹으로 1,921억 원 피해. 파산함.
-
2018.01
일본 코인체크, 해킹으로 580억 엔 넴(NEM)도난,
보상 추진하며 매각됨.
-
2018.01
한국 유빗(야피존 후신), 핫월렛 해킹으로 자산 17%손실.
파산선언 뒤 영업재개 검토하였으나 결국 파산.
-
2017.12
슬로베니아 나이스해시, 핫월렛 해킹으로 650억 원 손실,
피해는 보상됨
-
2017.09
한국 코인이즈, 핫월렛 해킹으로 21억원 피해.
고객피해는 보삼됨.
-
2017.07
미국 코인대시, ICO 입금 주소변경을 원인으로 79억 원 손실, 피해는 보상됨.
-
2017.06
한국 빗썸, 직원자택 PC해킹으로 3만 6천명 고객정보 유출.
피해보상됨
-
2017.04
한국 야피존, 개인키 도난으로 55억 비트코인 도난.
고객손실 37.1% 손실, 거래소폐쇄.
-
2016.08
홍콩 비트파이넥스, 개인키 도난으로 약 7천만 달러 비트코인 도난.
고객 36.1%손실, 피해보상됨.
-
2016.06
독일 더다오, 무한 환불공격 510억 원 피해, 결과 하드포크
-
2015.01
룩셈부르크 비트스템프, 악성코드로 55억 원 피해.
고객의 피해는 모두 보상됨.
-
2015.01
슬로베니아 비트스템프, 악성코드로 500만 달러 비트코인 도난.
고객의 피해는 모두 보상됨.
-
2014.10
영국 민트팔, 원인모를 사고로 25억 원 분실, 파산.
-
2014.02
일본 마운트곡스, 디도스(DDos)에 의해 470억 엔 분실.
이로 인해 파산, 고객은 아직 보상을 못받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