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25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 코인팜온라인과 함께 선물마진 API 트레이딩 “바이낸스 선물 API 거래” 오픈
암호화폐 파생상품 정보플랫폼 코인팜온라인(coinfarm.online)과 세계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가 coinfarm.online을 통해 암호화폐 선물 마진 거래 서비스인 ‘바이낸스 선물 API 거래’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바이낸스 선물 API 거래(binance.coinfarm.online)’는 전세계의 암호화폐 선물 마진거래 투자자들에게 바이낸스의 선진적인 서비스를 손쉽게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회원은 직접 바이낸스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거래를 하지 않고도, 바이낸스가 제공하는 API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인 UI를 통해 초심자도 BTC와 USDT를 사용하여 바이낸스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은 coinfarm.online이 제공하는 각종 암호화폐 마진거래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며 투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은 현물거래 시장 중심에서 빠르게 파생상품 시장으로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이미 파생상품 시장의 규모는 현물거래 시장의 규모를 넘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향후 파생상품 시장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미국 등 선진 자본시장에서는 주요 주식거래소가 암호화폐 파생상품의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 역시 앞다투어 관련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현재 바이낸스의 선물마진 거래는 전세계 거래규모의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빠르게 거래량과 유저를 늘려 나가고 있다. 바이낸스는 이미 높은 안정성과 보안성을 자랑하며, 풍부한 거래량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로 자리잡았다. 한발 더 나아가 바이낸스는 주요 암호화폐 관련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더 다양한 서비스의 채널을 제공하려 하고 있으며, 이번 제휴 서비스는 그 첫 시도라고 […]
2020.06.22
알고랜드, ‘리퍼블릭’의 디지털 자산 발행 지원
-리퍼블릭의 디지털 자산을 알고랜드 블록체인 상에서 발행-발행된 디지털 자산은 증권형으로 분류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교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가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투자 플랫폼 ‘리퍼블릭’(Republic)의 디지털 자산 발행을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리퍼블릭은 스타트업 및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미국 기반 민간 투자 플랫폼이자 기술 서비스 제공 기업이다. 리퍼블릭은 2016년 설립 이후 50만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170건 이상의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9년 자금 조달액은 약 6천7백만 달러에 이른다. 알고랜드는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리퍼블릭의 디지털 자산 발행을 지원할 예정이며, 해당 디지털 자산은 증권(Security)형으로 분류된다고 밝혔다. 알고랜드의 COO인 숀 포드(W. Sean Ford)는 “알고랜드를 기반으로 발행되는 디지털 자산은 기존 투자 산업 및 디지털 자산 투자 업계 모두에게 영향을 끼칠 것이며,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방식과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3.24
STP 네트워크, 바이낸스 커뮤니티 상장 투표 프로젝트로 선정
-바이낸스 커뮤니티 코인 7라운드 프로젝트로 아이리스넷과 함께 선정-무비블록에 이어 연달아 국내 프로젝트 선정 디지털 자산화 프로토콜 STP(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네트워크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 커뮤니티 상장 투표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고 18일 밝혔다. ‘바이낸스 커뮤니티 코인 7라운드’ 프로젝트로 선정된 STP 네트워크는 아이리스넷(IRIS)과 3월 24일 오후1시부터 25일 오후 1시까지 하루에 걸쳐 투표로 맞붙는다. 투표에 참여하기 위해 유저는 자신의 바이낸스 거래소 계정이 BNB를 예치해야하며, 오늘 오전 9시부터 6일간 보유한 평균 BNB 수량에 따라 투표권을 갖게 된다. STP 네트워크는 누구나 손쉽게 자산을 국제적으로 호환 가능한 방식으로 토큰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STP 네트워크는 온톨로지, 베이직어텐션토큰(BAT), 헤데라 해시그래프, 알고랜드 등 유명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클라이언트로 두고 있는 글로벌 컨설팅 기업 블록72(Block72)가 개발 및 운영사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STP 네트워크는 자체 생태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무비블록, 온톨로지, 솔라나, 크립토 펀드인 네오글로벌 캐피털(NGC), GBIC, FBG 캐피털, 커뮤니티 코박과 연계하여 마이크로 토큰 오퍼링(MTO)와 스테이킹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TP 네트워크의 CEO인 마이크 첸(Mike Chen)은 “글로벌 대형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상장 투표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기쁘다”며 “STP 네트워크가 블록72와 함께 구축한 중국, 한국, 미유럽권의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 파트너들의 지지와 함께 투표 참여를 독려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3.20
에이치닥테크놀로지, 첫 디앱 프로젝트 공개…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본격화
– 에이치닥, 음원 저작인접권 플랫폼 스타트업 ‘레보이스트’ 투자 … 에이치닥 블록체인ㆍ코인 적용 디앱 출시– 저작인접권 분할 구매 플랫폼 ‘위엑스’ … “최애 아티스트 신곡 제작 직접 참여하고 음원 수익도 공유”– 저작인접권 개인간 거래 플랫폼 ‘위엑스닥’ 오는 7월 출시 … 거래 및 수익 정산에 블록체인ㆍ코인이코노미 적용 현대BS&C 정대선 사장이 설립한 블록체인 기술 기업 에이치닥테크놀로지(한국지점 대표 주용완, 이하 에이치닥)가 음원 저작인접권[1] 플랫폼 스타트업 레보이스트(대표 오병훈)와 손잡고 에이치닥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첫번째 디앱(DApp)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레보이스트가 개발해 운영 중인 ‘위엑스(WeX)’는 팬이나 개인투자자들이 저작인접권 구매를 통해 아티스트의 신규 음원 제작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이다. 신규 음원 제작으로 발생하는 저작인접권 중 제작자인 레보이스트가 보유한 권리를 일반인들에게 분할 판매하고, 이에 따라 음원 수익을 나누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크라우드 펀딩과 달리 곡을 부른 아티스트 등 실연자와 동등한 수준의 권리가 구매자에게도 부여되며, 음원 발매 후 70년간 유지되는 저작인접권 보유 기간 동안 수익 분배도 보장된다. 저작인접권 구매는 현재 법정통화(FIAT)로 가능하며, 추후 에이치닥 코인을 통한 구매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 1월에는 위엑스의 첫 프로젝트였던 에이프릴 멤버 나은과 진솔의 노래 ‘시간차’가 성공적으로 목표 금액을 달성, 이달 초 디지털 싱글 앨범 발매를 완료했다. 레보이스트 사외이사인 김형석 작곡가와 작사가 김이나가 참가해 더욱 많은 관심을 모았다. 오는 7월에는 개인간에 저작인접권을 매매할 수 있는 에이치닥 블록체인 기반 거래 플랫폼 ‘위엑스닥(WeXDaq, 가칭)’을 출시할 계획이다. 저작인접권 보유에 따른 음원 수익 관리/정산과 기존 발매된 음원의 저작권 거래도 이 플랫폼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거래는 에이치닥 코인과 법정통화로 구매할 수 있는 포인트를 사용해 이뤄진다. […]
2020.03.19
미스릴(MITH), 아시아 최대 소셜데이팅 플랫폼 팍토르(Paktor)와 파트너십 체결
미스릴, 아시아 최대 소셜플랫폼 기업 팍토르와 파트너십 체결미스릴, 팍토르(Paktor)와 맞손 … 사용처 확대 가속화대만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 아시아 최대 소셜플랫폼 ‘팍토르’와 제휴 체결 대만의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MITH)이 아시아 최대 소셜데이팅 플랫폼 기업 팍토르(Pakto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독보적인 매칭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미스릴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스릴은 다양한 글로벌 소셜 서비스와 협업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가능한 암호화폐로서 블록체인 업계 주요 통화로 자리 잡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더 많은 소셜데이팅 플랫폼을 확보할 예정이다. 미스릴 관계자는 “현재 미스릴은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마카오 등에서 가장 빠르게 활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암호화폐로서, 이 지역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팍토르는 아시아에 2천만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50억 회 이상의 매칭을 달성한 소셜 데이팅 플랫폼으로서, 한국에 ‘스와이프’라는 이름으로 2016년에 서비스를 출시했다. 2019년 대한민국 프리미엄 브랜드 대상에서 IT(소개팅 앱) 부문에 선정된 바 있다. 제프리 후앙 미스릴 대표는 “아시아 대표 소셜 데이팅 플랫폼 팍토르와 미스릴과의 만남으로 일상에서도 안전하고 유용하게 미스릴 암호화폐가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스릴은 팍토르와 협력해 사용자가 손쉽게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 말했다. 미스릴은 미스릴 토큰(MITH) 사용자를 위해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팍토르 뿐아니라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하고 있다. 현재 미스릴 생태계에 가입된 플랫폼들의 사용자 규모는 약 9천만 명에 달한다. […]
2020.03.19
글로벌 진출 선언, 세계 최초 암호화폐 자동화 카피트레이딩 거래소 빙본(Bingbon)
세계 최초 투자 고문 거래 플랫폼 빙본이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한 가운데, 빙본 플랫폼이 많은 암호화폐 거래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어 화제다. 빙본은 올해 한국, 일본, 러시아 등에 본격적인 진출을 선언한 가운데, 적극적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 분야를 공략하기 위해 한국 블록체인 환경에 맞는 개발 전략을 수립하였다고 밝혔다 무엇이 빙본을 화제의 중심으로 이끌고 있는지 빙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빙본의 개발팀은 텐센트, 알리바바의 핵심 연구팀 출신이며, 리스크 관리와 보안은 구글, 화웨이, AZDag 출신들이 모여 시스템을 구축하여 우수한 보안성을 보장하고 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계약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글로벌 지수, 상품, 외환 등의 거래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홍콩 상장기업인 그랜드쇼어 테그놀로지(Grandshores Technology)로부터 1,500만 달러 투자를 유치 하였고, 유럽 및 미국에서 공식 발행한 글로벌 디지털 자산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2018년 중화권 서비스를 시작으로 한국, 중국, 대만, 베트남, 러시아 등 전 세계에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 거래량은 10억 달러에 달한다. 2019년 대만 시장에 진출하여 거래 금액 5천만 달러를 돌파하면서 대만 최대 암호화폐 계약 거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고, 베트남 시장에서도 4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빙본은 세계 최초로 원클릭 스마트 주문 팔로우 시스템을 개발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팔로우 시스템은 빙본이 자체 개발한 기능으로, 사용자가 우수한 트레이더를 선택해 주문을 팔로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거래소 내에서 모든 트레이더의 […]
2020.03.14
시큐아이, 인텔과 FPGA기반 보안 장비 공동 개발 나선다
기존 보안 장비 대비 위협 탐지 성능 극대화 기대 향후 운영기술(OT)보안, 보안관제, 가상화 보안도 공동 개발 검토 정보보안 전문기업 시큐아이(대표 최환진, www.secui.com, 삼성SDS 자회사)는 인텔과 프로그래머블칩(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기반 보안 장비 공동 개발 협력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 체결로 양사는 인텔의 FPGA를 내장한 스마트 네트워크 카드에서 곧바로 보안 위협을 탐지함으로써 탐지 성능을 향상시킨 보안 장비를 개발한다. 이 제품은 여러 단계를 거쳐 보안 위협 탐지 정보를 처리하는 기존 중앙처리장치(CPU) 방식에 비해 탐지 속도가 뛰어나 IT(정보기술)/OT(운영기술) 환경의 사이버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개발할 보안 장비의 초기 기획 단계부터 개발까지 전 과정을 함께 진행하며 관련 노하우와 지식을 공유한다. 아울러 양사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네트워크 보안 분야뿐만 아니라 OT 보안, 보안관제, 가상화 보안 등 다양한 분야까지 지속적인 공동 개발을 검토해나갈 계획이다. 최환진 시큐아이 대표는“시큐아이의 우수한 보안 기술력과 노하우를 인정받아 공동 개발 협력을 체결하게 됐다”며“인텔과의 협력을 통해 시큐아이의 제품 및 서비스의 기능과 성능을 모두 향상시켜 글로벌 보안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3.11
비트퓨리와 합작으로 클라우드 마이닝 사업 진출 클라우드 마이닝 한국 독점권도 취득 기존 델리오 렌딩, 스테이킹 서비스와 연계 블록체인 기업 델리오는 지난 2 일 ‘델리오 클라우드 마이닝’ 서비스를 정식으로 오픈했다. 델리오 클라우드 마이닝은 클라우드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서비스로 채굴자가 장비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온라인에서 MP(마이닝파워)를 구매하면 그 비율에 따라 채굴된 비트코인을 분배해 주는 서비스 이다. 4 년 동안 채굴된 암호화폐를 분배 받을 수 있으며 구매한 MP(마이닝파워)는 제 3 자에게 매도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델리오는 비트퓨리(Bitfury) 본사와 합작으로 클라우드 마이닝 사업에 진출했으며 클라우드 마이닝 한국 독점권도 취득했다. 델리오는 암호화폐 렌딩 전문기업으로 국내 최대 거래소인 빗썸 등에도 암호화폐 담보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 렌딩액이 1 억을 넘기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퓨리는 유럽에 본사가 있는 세계적인 암호화폐 채굴 기업 중 하나이며 비트코인 블록체인 외에도 맞춤형 반도체 칩, 모바일 데이터센터 등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혁신적인 하드웨어를 설계 및 생산하고 있다. 지난 해에 전세계 10 대 블록체인 유니콘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델리오는 본 사업에서 클라우드마이닝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등 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비트퓨리는 하드웨어 채굴장비의 유지보수를 맡고 있다. 델리오 정상호 대표는 “암호화폐 마이닝 사업은 안전성, 전문성, 수익성 및 운영 편리성 등이 중요하며 델리오 클라우드 마이닝은 이 네 가지를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 이다. 특히, 비트퓨리와의 사업 합작은 델리오 클라우드 마이닝의 신뢰성과 수익성을 극대화 […]
2020.03.05
– 글로벌 기업 크레도락스(社)와 블록체인 및 RPA 솔루션 기반 지급결제 플랫폼 사업 협력– 삼성SDS의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 유니버설’, AI 기반 업무 자동화(RPA) 솔루션 ‘브리티웍스’로 유럽 시장 공략 강화 삼성SDS(대표 홍원표, www.samsungsds.com)가 이스라엘 기업과 손잡고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SDS는 3일 이스라엘 크레도락스(社)와 블록체인 및 RPA 솔루션 기반 지급결제 플랫폼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둔 크레도락스(Credorax)는 카드 결제 시 발생하는 지급, 정산 등 거래 처리를 위한 서비스를 유럽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크레도락스(社)는 자사의 지급결제 플랫폼에 삼성SDS의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 유니버설(Nexledger Universal)을 적용하여 보안, 거래처리 속도,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넥스레저 유니버설은 삼성SDS 자체 분산합의 기술(NCA)과 범용 블록체인 기술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이더리움 등에 공통으로 적용이 가능한 표준(API)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기반으로 손쉽게 이용하고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크레도락스(社)는 삼성SDS의 AI 기반 업무자동화(RPA) 솔루션 브리티웍스(Brity Works)를 지급결제플랫폼, 회계 시스템,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에 적용하여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브리티웍스는 삼성전자, 삼성증권, 수협은행, 전자랜드 등 30여 기업에서 도입하여 자재 현황 분석, 고객 응대, 판매 관리 등의 업무 자동화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 협력을 계기로 양사는 유럽 시장 내 전자상거래, 뱅킹, 핀테크 업종을 대상으로 신규 사업 기회를 공동으로발굴하게 된다. 크레도락스(社) 이갈 로템(Igal Rotem) CEO는 “크레도락스의 지급결제 플랫폼에 삼성SDS 블록체인 기술과 RPA 솔루션을 결합하여 기업간 거래, […]
2020.03.05
블로서리, 블록체인 기반 농식품 거래 플랫폼 ‘마켓블리’ 정식 오픈
블로서리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식품 거래 플랫폼 ‘마켓블리’가 4일 정식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베타 오픈한 마켓블리는 현재 누적 가입자 수 1천 명, 활성화기기 1천200기기를 돌파했으며, 지난 3개월간 베타서비스 테스트와 성능 테스트를 거쳐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고, 정식 오픈을 하게 됐다. 또한 블로서리는 마켓블리의 정식 오픈을 기념하는 오픈 미션 이벤트를 진행한다. 해당 이벤트는 앱을 다운로드한 후 마켓블리의 사용법을 익히고 간단한 미션을 달성하여 마켓블리의 암호화폐인 BLCT(Blocery Token)를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지급받은 토큰을 이용해 실제 마켓블리의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는 총 5개의 미션이 주어지며, 각 미션 수행 시 BLCT로 리워드를 받는다. 블로서리는 이벤트와 함께 4주에 걸쳐 타임세일, 카테고리, 상품구매, 제품별 할인 구간 확인, 마이페이지 등 단계별로 기능을 개선 및 추가할 예정이다. 관계자들은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토큰 거래를 활발히 하겠다고 말했다. 마켓블리의 정식 오픈 이벤트는 3월 15일까지 진행하며,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3.04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후오비 그룹이 오픈소스 퍼블릭 블록체인인 ‘후오비 체인(Huobi Chain)’의 공개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1여 년간 널보스(Nervos)와 협업으로 개발된 후오비 체인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 금융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됐다. 후오비 코리아는 이번에 공개한 후오비 체인의 특징으로 ▲규제 친화적 네트워크 ▲금융 특화 프레임워크 ▲혁신적 기능 제공 ▲지속적인 네트워크 업데이트를 꼽았다. 후오비 코리아는 후오비 체인이 규제 기관과 민간 금융 부문 간 협력의 강화를 위해 개발되었다고 전했다. 분산 지분 증명(Delegated Proof-of-Stake, DPoS) 합의 알고리즘의 변형을 기반으로 한 거버넌스 모델을 채택해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 네트워크상에서 분산 신원 인증(DID) 시스템을 사용한 KYC 및 AML 등 국가 간 규제 및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후오비 체인은 금융에 특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오픈 소스로 개발되어 다양한 금융 서비스의 특정 요구사항 및 사용 사례에 맞게 맞춤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고성능 아키텍처를 적용해 대량 거래를 지원하며 크로스 체인 상호 운용, 다중 자산, 스마트 계약 기능, 다중 체인 간 아키텍처 등을 지원해 유연하고 확장이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온체인 및 크로스 체인 자산 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비트코인(BTC) 및 이더리움(ETH)뿐만 아니라 후오비에서 출시한 후오비토큰(HT), 후오비BTC(HBTC) 및 후오비USD(HUSD) 역시 후오비 체인의 독점 자산 관리 기능을 통해 관리가 가능하다. 후오비 코리아는 후오비 체인이 고성능 스마트 콘트랙트 및 체인 간의 상호 운용을 지원하는 혁신적 기능도 갖췄다고 전했다. 다양한 중앙 집중식 또는 탈중앙화 네트워크와 상호 운용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해 타사에서 생성하고 관리하는 사이드 체인을 지원한다. 이번에 공개한 테스트넷은 현재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콘트랙트만을 지원하지만 향후 개발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지원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후오비 체인의 메인넷은 올해 하반기로 계획되어 개발이 진행되는 등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해외 개발자, 연구원 및 사용자가 테스트넷 시험에 참여하거나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토론에 참여해 지속적인 DeFi 응용 프로그램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후오비 체인의 자세한 사항은 후오비 코리아 공지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시아라 선(Ciara Sun) 후오비 그룹 글로벌 비즈니스 부대표는 “후오비 체인은 금융 서비스에 더욱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부를 이용할 수 있는 평등한 경제를 조성하기 위해 개발됐다”라며 “DeFi 분야에서 업계 전반의 협업을 촉진하는 분산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후오비토큰(HT)은 후오비 체인의 유일한 유틸리티 토큰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HT의 강력한 커뮤니티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후오비 체인과의 효과적인 시너지를 만들 것을 기대하고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3.03
엘에스웨어, 단국대 ‘디지털헬스케어’ 융합보안사업단과 블록체인 기반 융합보안 연구개발 협력 협약
– 국내 유일 오픈소스 검수 솔루션 포스가드 공급 및 관련 컨설팅 제공– 상반기 출시하는 블록체인 기반 검수 서비스 아이즈프로토콜로 융합보안 연구개발 박차 엘에스웨어(대표 김민수)과 단국대학교 ‘디지털헬스케어’ 융합보안사업단(단장 박창섭)이 블록체인 기반 융합보안 연구개발 협력 및 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협력 분야는 ▲블록체인 기반 융합보안 협의회 공동 운영, 세미나 개최 ▲블록체인 기반 보안 국내외 표준화 연구 및 법, 제도, 정책 연구 등 기술 정보 공유, ▲산학협력 프로젝트 및 인턴십 시행, ▲블록체인 기술 및 융합보안기술 공동연구 수행 등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엘에스웨어의 블록체인 전문역량과 단국대 융합보안사업단의 우수한 인력을 서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내실 있는 협력을 이룰 것으로 기대했다. 엘에스웨어 김민수 대표는 “최근 블록체인 프로젝트 간의 소스코드 복제와 오픈소스 라이선스 논란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고 말하며 “최신의 블록체인 기술과 융합보안 기술을 개발함에 있어 무엇보다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를 위해 자사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검증 및 취약점 점검 솔루션 ‘포스가드(FOSSGuard)’를 공급하고 관련 컨설팅을 제공하겠다”고 밝히며 “블록체인 기반 포스가드의 온라인 버전인 ‘아이즈프로토콜 서비스(EYES Protocol Service)’까지 이용하면 블록체인 기반 융합보안 연구개발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포스가드는 정보보호 및 오픈소스 전문기업 엘에스웨어의 컴플라이언스 제품군으로 SW 개발에 사용되는 오픈소스의 라이선스를 검사하고 취약점을 찾는 솔루션이다. 2016년 ‘K-ICT 신SW상품대상’ 장관상을 받으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아이즈프로토콜은 엘에스웨어의 포스가드를 […]
2020.03.03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총장 박호군)와 에듀블록(대표 이인규), 한국블록체인평가(대표 최종관) 공동주관으로 블록체인산업 최고경영자과정을 신설하고 수강생 모집을 진행한다고 공지하였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기술, 블록체인이 만드는 새로운 기회” 주제로 국내 블록체인 업계의 최고의 리더들과 분야별 명 강사를 초빙하여 체계적인 전문지식과 블록체인 융합 역량을 키우기 위한 전문과정으로 오는 4월2일 입학식을 시작으로 6월25일까지 총 12주간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선정릉역에 위치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에서 진행된다. 해당 과정은 블록체인 기술과 구현사례 뿐만 아니라 법제도, 콘텐츠, 클라우드, 디지털화폐, 자산거래소, 정보보안 등 주요 이슈에 대한 명확한 진단과 현업에서 적용 가능한 정보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혁신적인 성장 기회를 창출하고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경제 시대를 선도할 경영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에서 추진중인 금융, 관광, 물류, 재난 부문에서 검토중인 다양한 기반기술과 미디어, 교육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플랫폼 운영사례도 공유한다. 본 과정은 에듀블록, 한국블록체인평가 공동주관으로 진행되며 과정 수료시 총장 명의 수료증과 총동창회 준회원 자격이 부여되고 다양한 네트워크 활용이 가능하다. 강사로는 전하진 대표(Siti Plan), 박재현 대표(람다256), 이정민 변호사(김앤장), 노태석 정책관(금융위원회), 어준선 대표(코인플러그), 이보경 부대표(코인원), 김정혁 교수(서울사이버대학), 고영진 실장(한국거래소), 김상환 부장(부산은행) 등을 포함하여 현업에서 실무경험이 풍부한 리더와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수강신청은 오는 3월 31일까지이며,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홈페이지(http://edu.svu.ac.kr) 공지사항을 통해 이메일(lifelong@svu.ac.kr)로 지원할 수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2.07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가 오는 2월 18일(화)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 6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의 다양한 블록체인 개발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고, 블록체인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일반인들의 만남을 통해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대한민국이 동북아의 블록체인 허브로서 자리매김하자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블록체인 개발업체들뿐 아니라, 암호화폐 거래소 등 총 25명의 주제발표와 33개의 전시부스가 운영될 예정이며, 에어드랍, 경품 추첨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아이콘루프, 람다256 등 한국을 대표하는 블록체인 개발 업체들이 참가할 예정이며, ‘법무법인 린’의 테크앤로 구태언 변호사가 축사를 한다. 해시넷이 1차로 공개한 연사 및 참여업체에 의하면, 축사에 이어 △최지영 ㈜아이콘루프 이사, △정권호 람다256 실장, △김유경 블루콘 부회장, △유재범 소다코인 대표, △김민준 휴페이엑스 상무, △송호원 코스모체인 대표, △김형준 갭스 대표, △하우성 ㈜에이락 팀장, △황주원 애너그램 대표, △정진형 마일벌스 대표, △이수정 ㈜이포넷 대표, △김수원 조인파트너스 이사, △토리움 김경태 대표 등이 발표할 예정이다. 사회는 김혜지 아나운서가, 발표자 인터뷰는 구자희 아나운서가 맡는다. 본 콘퍼런스는 지금까지의 불황과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앞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서 구현될 블록체인 기술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서비스 사례를 소개하는 자리이다. 또, 대한민국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주역들이 총출동하는 축제의 장인만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개발의 최신 동향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위한 아이디어 […]
2020.01.30
캐리 프로토콜 토큰 CRE, 펀디엑스 결제 플랫폼에 탑재
펀디엑스는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개발 기업인 캐리 프로토콜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캐리 프로토콜은 한국 최대의 오프라인 보상 플랫폼인 스포카의 파트너사이다. 태블릿 기반 리워드 플랫폼인 도도 포인트 솔루션은 한국 최고의 로열티 플랫폼으로 2조원 규모의 오프라인 결제 데이터를 추적하고 있다. 캐리 프로토콜의 토큰인 CRE는 토큰 리스팅 프로그램인 펀디엑스 오픈 플랫폼을 통해 펀디엑스 결제 시스템에 탑재된다. CRE 토큰은 이제 호주, 아르헨티나, 브라질, 독일, 스페인, 싱가포르, 베네수엘라 및 한국 등 전 세계 30개국에 위치한 펀디엑스의 파트너 엑스포스 상점에서 결제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CRE는 전 세계 약 70만 명의 등록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엑스월렛 앱에도 들어간다. 캐리 프로토콜의 최재승 공동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소비자들은 데이터 보상에 기반한 캐리 토큰(CRE)을 사용하여 오프라인으로 결제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캐리 프로토콜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여 누구나 실제 생활에서 쉽게 암호화폐를 얻고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전했다. 캐리 프로토콜의 펀디엑스 결제 플랫폼 탑재는 캐리의 파트너가 가진 2조원 이상 규모의 오프라인 결제 데이터와 함께 실질적인 암호화폐 결제 시작을 알리는 협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 발 토큰의 결제시장이 단순히 한국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도 보인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캐리 프로토콜은 펀디엑스의 전 세계 사용자를 잠재 고객으로 확보함으로써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하고 동남아 및 기타 […]
2020.01.21
IBCT, 암호화폐 지갑 ‘레지스 월렛’ 글로벌 버전 출시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레지스(LEDGIS)의 개발사인 (주)블록체인기술연구소(대표 이정륜)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레지스 월렛(LEDGIS WALLET)’ 글로벌 버전을 내달 출시한다. 레지스 월렛은 간편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특히, 실명인증(KYC) 지원으로 실명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의 경우 10자리 이내 영문 소문자와 숫자만을 조합하여 간단한 계정 생성이 가능하다. 레지스 월렛은 최근 앱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위한 기능을 추가했다. 대표적으로 암호화된 키(Key) 백업 기능이 추가되어, 분실하더라도 기존에 사용하던 키를 되찾아올 수 있다. 또한 레지스 월렛 메인 화면에서 토큰을 선택할 경우, 총자산 내역에서 선택한 토큰 정보가 표시되어 단번에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기술연구소 관계자는 “레지스 월렛의 글로벌 버전 출시를 앞두고,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사용자 편의 중심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레지스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계를 허무는 차세대 블록체인으로 사용자들은 체인의 영역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레지스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한 ‘2019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에서 방위사업 지원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에 레지스를 도입하여, 방위사업청의 업무 프로세스를 크게 개선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1.21
테라, 100만 사용자 돌파 “글로벌 성공 위한 블록체인 청사진 제시”
– 7개월 만에 기념비적 성과… 연 거래액 2조 8000억원 기록– 가치담보토큰 ‘루나(LUNA)’와 스테이킹(Staking) 모델이 성공 견인 차세대 결제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 https://terra.money)는 테라 블록체인 출시 7개월 만에 사용자 수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테라 사용자 수는 1건 이상의 유의미한 거래 기록을 보유한 테라 계정 수를 의미한다. 권도형 테라 공동 창립자는 “테라는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에 이익이 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네트워크를 신중히 구축해왔고 그 결과 단기간 내 사용자 수 100만 돌파라는 기념비적 성과를 거두었다”며 “앞으로도 한국의 차이, 몽골의 미미페이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모바일 결제 플랫폼과의 협업, 그리고 다양한 탈중앙 금융 서비스 연계를 통해 미래의 금융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테라의 성공은 가치담보토큰 루나(LUNA)와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토큰 보유자에게 거래 수수료를 지급하는 블록체인 스테이킹(staking) 모델에 기인한다. 루나 보유자(holder)가 루나 토큰을 스테이킹할 시 이에 대한 보상으로 스테이블코인 형태로 테라 거래 수수료가 지급된다. 이 같은 보상 덕분에 투자자들은 테라 네트워크를 지원할 강력한 동기를 얻는다. 한편, 지난해 12월 테라의 메인넷인 콜럼버스(Columbus) 업그레이드 이후 테라 거래 수수료율이 0.1%에서 0.5%로 인상되었다. 국내 대표 블록체인 벤처 펀드이자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Hashed)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2월까지 루나의 시가 총액이 7.35배 늘 것으로 전망했다. 대다수 지분증명(PoS∙Proof-of-Stake) 방식의 네트워크는 인플레이션으로 발생되는 수익을 네트워크 토큰 보유자에게 보상으로 지급한다. 반면 루나는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수수료를 보상으로 지급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진정한 가치를 반영한다. 테라 블록체인 생태계 참여에 필요한 루나는 현재 국내 거래소 빗썸, 코인원, 고팍스, GDAC, 해외 거래소 비트루(Bitrue)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테라 사용자 수 및 […]
2020.01.20
믹스마블, 알리바바 자회사 ‘앤트 파이낸셜’ 블록체인 활용한다
믹스마블 게임 하이퍼스네이크, 알리페이에 탑재 게임에서 획득한 쿠폰 및 포인트는 블록체인에 기록 획득한 디지털 자산은 알리페이 내 다른 서비스에서도 사용 가능 블록체인 기반 게임 제작 및 퍼블리싱 플랫폼 ‘믹스마블(MixMarvel)’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Alibaba)’의 금융 계열사 ‘앤트 파이낸셜(Ant Financial)’이 개발한 블록체인을 활용한다고 17일 밝혔다. 앤트 파이낸셜은 세계적인 전자결제 플랫폼 ‘알리페이(Alipay)’의 운영사다. 앤트 파이낸셜은 이달 내 중소기업용 플랫폼 ‘앤트 블록체인 오픈 얼라이언스(Ant Blockchain Open Alliance)를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및 개발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블록체인 앱을 개발할 수 있다. 믹스마블은 앤트 블록체인 오픈 얼라이언스에 합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믹스마블은 앤트 파이낸셜의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으며 알리페이에 믹스마블이 출시한 게임 ‘하이퍼스네이크(HyperSnake)’가 탑재된다. 알리페이 사용자들은 하이퍼스네이크를 플레이함으로써 알리페이 내 쿠폰 및 포인트와 같은 디지털 자산을 게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보상받은 디지털 자산은 블록체인에 기록돼 알리페이 사용자들은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알리페이 내 다른 서비스들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믹스마블은 게임 개발자들이 믹스마블SDK(Software Development Kit)을 활용해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상용화를 위한 블록체인 게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믹스마블은 클레이튼 기반 게임 ‘마블 클랜즈(Marvel Clans)’, 온톨로지 기반 게임 ‘크립토 쓰론(Crypto Throne)’, 네오 기반 FPS 게임 ‘그라운드헌터(Ground Hunter)’ 등 다양한 게임을 공개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
2020.01.20
에이치닥테크놀로지, 잉카인터넷과 블록체인 기반 보안솔루션 공동 개발 착수
에이치닥-잉카인터넷, 블록체인 기술 결합한 보안 솔루션 공동 개발 및 관련 비즈니스 확장에 협력 P2P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 통해 클라우드 운영비용 절감, 데이터 무결성으로 해커 공격 차단 노드운영자ㆍ화이트해커에 리워드 지급하는 토큰 이코노미 도입 통해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 현대BS&C 정대선 사장이 설립한 블록체인 기술 기업 에이치닥테크놀로지(한국지점 대표 주용완, 이하 에이치닥)가 지난 15일 에이치닥 한국 지점에서 정보보안 전문기업 잉카인터넷(대표 주영흠)과 블록체인 기반 보안 솔루션 공동 개발 착수식을 가졌다. 잉카인터넷은 현재 공공기관, 금융사 및 게임회사 온라인 보안 부분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국내를 넘어 일본,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 ‘nProtect(엔프로텍트)’ 제품군과 엔드포인트 보안솔루션인 ‘TACHYON(타키온)’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양사가 공동 개발 예정인 보안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블록체인의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블록체인의 데이터 무결성으로 해커의 공격을 원천 차단하고 악성코드 탐지 시스템에 대한 위ㆍ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악성코드 DB는 해시값 형태로 블록체인에 기록·관리하며, 블록체인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블록체인의 특성은 ‘스냅샷을 이용한 블록체인 최적화 및 동기화 방법’ 등 에이치닥이 특허 출원 중인 기술들을 사용해 블록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구현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토큰 이코노미도 적용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노드 운영자 및 악성코드 DB를 제공하는 화이트해커에게 리워드 개념의 포인트를 지급해 […]
2020.01.17
코인원 플러스의 락업 프로그램에 이오스(EOS)와 함께 선정 연 38.50%의 수익률로 총 10회차로 진행 디지털 자산화 프로토콜 STP(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네트워크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의 락업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고 16일 밝혔다. STP 네트워크 락업은 코인원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인 ‘코인원 플러스’에 속한 프로그램이다. 이번 STP 네트워크 락업은 총 10회차에 걸쳐 진행되며 각각 30일 동안 연 수익률 38.50%의 리워드를 락업 신청자에게 지급할 계획이다. STP 네트워크는 누구나 손쉽게 자산을 국제적으로 호환 가능한 방식으로 토큰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STP 네트워크는 글로벌 컨성팅 기업 블록72(Block72)가 운영하고 있으며, 블록72는 STP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자체 암호화폐인 STPT를 통해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지역별 컴플라이언스 준수, 사업확장 및 마케팅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STP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크립토 펀드, 거래소, 서비스 제공 업체, 커뮤니티 등으로 이뤄진 에코 시스템 파트너를 구성하여 생태계를 확장해가고 있다. STP 네트워크의 CEO인 마이크 첸(Mike Chen)은 “코인원 플러스에서 진행되는 락업 프로그램은 STP 네트워크가 계획중인 스테이킹 프로그램의 출시하기 전에 커뮤니티에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다”며 “총 10회로 계획된 락업 프로그램의 1차 신청이 시작되었으며, 앞으로 새로운 토큰 유틸리티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1.17
BORA(보라), ‘드래곤라자2’ ’자이언츠’ 채널링 서비스 …9일 정식 오픈
‘드래곤라자2 with BORA’와 ‘자이언츠 with BORA’ 전체 사전예약 80만 돌파 1월 9일 정식 오픈 후 BORA 계정이 있는 유저 누구나 게임 플레이 가능 대규모 유저 확보 위해 지속적으로 파트너사와 협업 이벤트, 프로모션 진행 예정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대표 차지훈)가 모바일 게임 ‘드래곤라자2’와 ‘자이언츠’의 채널링(Channeling) 서비스 전체 사전예약이 80만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BORA는 국내 게임 개발사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SKYMOONS TECHNOLOGY), 싱타(SINGTA)와 협업해 BORA 플랫폼 계정 ID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채널링 서비스 ‘드래곤라자2 with BORA’와 ‘자이언츠 with BORA’의 서비스를 사전예약 기간을 거쳐 1월 9일 정식 오픈할 예정이다. 현재 BORA는 1월 8일까지의 사전예약 기간 동안 BORA ISLAND(아일랜드) 공식 웹페이지와 페이스북을 통해 유저 참여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추첨을 통해 갤럭시 폴드, BORA 토큰, 게임 아이템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하고 있다. BORA 채널링 서비스 정식 오픈에 맞춰 논타겟팅(Non-Targeting) 액션 MMORPG 드래곤라자2는 신규 서버 추가와 새로운 지역, 변신 시스템 등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진행되며, 신개념 탐사 전투 RPG 자이언츠는 신규 론칭을 통해 새로운 재미를 전달할 예정이다. BORA 차지훈 대표는 “많은 분들이 사전예약에 참여해 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며 “BORA를 통해 더 많은 유저들이 게임 서비스를 접할 수 있도록 파트너사들과 다양한 협업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꾸준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전예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BORA 아일랜드(https://island.boraecosystem.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1.09
블록체인기술연구소(IBCT), 하이테크 어워드 블록체인 대상 수상
지난 27일 ‘하이테크어워드(Hi-Tech Awards)’에서 블록체인기술연구소(이하 IBCT)가 블록체인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하이테크어워드(Hi-Tech Awards)는 1996년 3월 제정된 시상식이다. 국내 IT산업의 각 분야에서 눈에 띄는 활동이나 업적을 남긴 인물 및 업체를 선정하여 노고를 치하하고자 정부, 공공기관 및 IT업체, CEO, CIO 등 각계 각 층의 저명한 리더들이 참석하는 권위있는 시상식으로 알려져 있다. 200여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는 4차산업 핵심 부문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AI를 비롯하여 AR/VR, 블록체인, 보안, 교육혁신, SW혁신, 재난안전 등 12개 부문에서 시상이 이뤄졌다. IBCT는 기업용 블록체인을 솔루션 형태로 개발하여 시장개척에 앞장선 노력이 높게 평가되어 올해 블록체인부분 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IBCT의 ‘레지스 엔터프라이즈’는 방위사업청 입찰평가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등, 이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IBCT 이정륜 대표는 “현재 정부 및 공공기관, 의료,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대한 니즈가 크지만, 신규 노드의 빈번한 진입, 대용량 데이터 관리의 어려움 등 여러 한계점이 있다”며, “레지스 엔터프라이즈는 신규 노드 진입 간편화,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망 분리 또는 다중운용 등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한계를 해결한다”고 전했다. 한편, 레지스는 최근 한국인정기구(KOLAS) 시험·평가를 통해 소프트웨어 분야의 국제공인시험 인증기관으로 인정받으며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계를 허무는 차세대 블록체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19.12.31
지난 8월 출시한 무료 베타 서비스에 이어 오피셜 서비스 정식 출시 정식 출시 이후 시작될 글로벌 확장 전략 함께 공개 블록체인 기반 영화 컨텐츠 배급 플랫폼 무비블록이 영화감독 및 제작자가 무비블록에 자신의 영화를 공유할 수 있는 오피셜 서비스를 12월 30일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무비블록에 따르면 오피셜 서비스는 지난 8월 출시한 무료 베타 서비스를 보완하여 출시될 정식 버전이다. 오피셜 서비스를 통해 영화 감독 및 제작자, 배급사는 제작한 영상 컨텐츠를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전세계에 홍보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유저들은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영화제 수상작 등 작품성 있는 영화를 플랫폼을 통해 시청할 수 있고, 자막 작성, 리뷰, 별점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에 따라 무비블록 토큰 MBL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무비블록은 오피셜 서비스 출시 이후 글로벌 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도 함께 공개했다. 무비블록 팀은 △서포터즈를 통한 다양성 영화 대중화 마케팅 △KMPlayer, 콘텐토스(Contentos), 온톨로지(Ontology) 플랫폼과 연계한 유저 확보 △영화 산업 내 파트너와의 적극적 협업 △전세계 다양한 언어 지원 자막 도입 △거래소 추가 상장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등 총 5가지 전략을 앞세워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무비블록 강연경 대표는 “무비블록은 약세장이라 평가받는 올해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3대 거래소에 상장 완료했으며 정식 버전 출시로 글로벌 확장까지 앞두고 있다”며 “새롭게 출시될 오피셜 서비스는 베타에서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영화 제작자 및 시청자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
2019.12.30
바이비트 ‘글로벌BTC대회’ 개최 완료 ‘한국 3팀 순위권 진입
바이비트 ‘글로벌BTC대회’ 개최 완료 ‘상금 5% 세이브더칠드런 기부’ 암호화폐 트레이딩플랫폼 바이비트(Bybit)가 ‘글로벌BTC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11월 28일부터 12월 13일까지 진행된 ‘글로벌 BTC 트레이딩 대회’는 세계 80여개국에서 수많은 비트코인 트레이더들이 경합을 벌이는 비트코인 대회다. 11월 18일부터 28일까지 약 10 일간의 접수 기간 동안 7,608명, 135팀이 참가했으며, 이중 한국인은 833명으로 총 20팀이 참여했다. 총 상금은 50BTC로 TOP10에 선정된 팀원은 20% 상금을 나눠 받으며, 나머지 50% 상금은 팀원 전체에게 동일하게 배분된다. 팀리더는 총 상금의 30%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총상금의 5%인 2.5BTC는 ‘세이브더칠드런’ 에 기부하여 비트코인을 통한 자선 활동을 펼쳤다. 1위는 중국의 ‘比特精灵’ 팀이 차지했으며, 3위에 오른 ‘天啟資本 – Flora&T’ 팀, 4위에 오른 ‘CallmePope战队’ 팀, 5위에 선정된 ‘酒逢知己一杯倒’ 팀, 6위에 선정된 ‘热心市民小高’ 팀까지 나란히 중국에서 차지해 눈길을 모았다. 한국의 3개 팀 역시 TOP10 순위권 안에 선정돼 화제를 모았다. 2위를 차지한 ‘Youtuber BitJin’, 9위를 차지한 ‘Ten 10’, 10위를 차지한 ‘코인발전소’가 한국팀이었다. 7위는 영어권 국가의 ‘Moon Boys’팀에게 돌아갔으며, 8위는 일본의 ‘sixamo Newbie’s Free Salon’ 팀이 순위에 올랐다. 개인 순위의 경우 ‘ACMPlayer’가 수익률 1540.49%를 올리며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cxx2014003’는 1424.65%, 3위인 ‘139____8669’는 788.8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바이비트 측은 “대회기간 동안 비트코인의 가격변동이 심함에도 불구하고, 팀 및 개인간의 우수한 전략으로 TOP 10 개인 수익률은 평균 600~700%를 기록했다”면서 “대회 기간에도 참가자들의 뜨거운 열기로 인해 코인힐스 기준 비트코인 거래량 2위를 차지할 […]
2019.12.27
애니멀고, ‘2019 대한민국을 빛낸 10인 대상 시상식’서 10대 기업인상 수상
반려동물 관련 플랫폼 개발업체 애니멀고가 26일 ‘2019 대한민국을 빛낸 10인 대상 시상식’에서 ‘10대 기업인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을 빛낸 10인 대상 시상식은 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도전한국인협회 주최로 다양한 산업에서 끊임 없는 노력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도전 정신 확산에 기여한 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매년 기업인 10인, 문화예술인 10인을 선정해 포상하고 있다. ‘2019 대한민국을 빛낸 10인 대상 시상식’ 에는 알리, 허성태, 이근호, 임하룡, 김보성, 이태란, 김지훈 등의 방송인들이 참석하였고, 이수성 전총리, 염동열 국회의원 등 정재계 인사들도 다수 참석하였다. 애니멀고는 지난 7월, 처음으로 안드로이드 마켓에 ‘애니멀고’ 정식버전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한 후 현재 5만명 이상이 다운로드한 애니멀고. 8월 안드로이드 마켓 5위, 아이폰 인기차트 21위에 랭크되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애니멀고는 현재 AI 기술을 이용해 배변 분석, 혈통 인식, 치아로 나이를 알아보는 기술을 적용하여 분석 결과로 마켓에서 AI 맞춤형 상품을 추천해주고 있다. 애니멀고관계자는 이번 수상소감으로는 ‘올해는 아쉬운 점이 많았지만 격려의 상이라고 생각하고,내년에는 좀 더 발전하고 많은 것이 이루어진 애니멀고가 될 것입니다’ 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19.12.27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