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25
블록체인 기반 의료서비스 플랫폼 미스블럭(MISBLOC), 22일 코인원 거래소 상장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서비스 플랫폼 미스블럭(MISBLOC)이 22일 국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인원에 상장한다고 22일 밝혔다. 미스블럭은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서비스 플랫폼으로 환자, 병원, 정부 및 공공기관에게 검증된 의료 정보 제공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을 목표로 의료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하여 환자 개인 정보의 안정성과, 병원의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제공한다. 미스블럭의 기능은 대표 어플리케이션, “아나파톡”에서 구현된다. 아나파톡은 의료 데이터의 활용, 원격진료, 의료 정보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미스블럭의 의료 서비스 앱이다. 미스블럭의 MSB 토큰은 아나파톡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이더리움 기반의 유틸리티 토큰이다. MSB 토큰은 아나파톡에서 토큰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추후 아나파톡 이용자는 앱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MSB 토큰을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미스블럭 김도희 대표는 “이번 코인원 상장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의료 서비스 시장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첫 발을 내딛었다”며, “앞으로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힘쓰겠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22
플라이빗, 5개 디파이(DeFi) 프로젝트 상장하며 디파이 트렌드 주도
커브(CRV), 세럼(SRM), 비지엑스프로토콜(BZRX), 샌드박스(SAND), 쿠사마(KSM) 등 BTC 및 USDT 마켓 상장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가 디파이 프로젝트 흥행에 맞춰 커브(CRV), 세럼(SRM), 비지엑스프로토콜(BZRX), 샌드박스(SAND), 쿠사마(KSM) 등을 신규 상장한다고 9일 밝혔다. 플라이빗은 금일 15시부터 BTC 및 USDT 마켓에서 커브(Curve, CRV), 세럼(Serum, SRM), 비지엑스프로토콜(bZx Protocol, BZRX), 샌드박스(SANDBOX, SAND), 쿠사마(Kusama, KSM)등을 거래할 수 있는 동시에 매수/매도 주문이 빠르게 매칭될 수 있게 바이낸스 (Binance) 오더북과 연동된다.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 커브(Curve, CRV)는 유니스왑(Uniswap)처럼 효율적인 스테이블 코인 거래를 위해 설계된 이더리움의 유동성 풀로써 플랫폼 내 유동성 공급자를 위한 리스크 최소화와 수수료 수입이 분배된다. 커브(CRV) 토큰은 플랫폼 거버넌스 투표 및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되며, 수집된 거래 수수료의 일부는 지속적인 토큰 소각을 위해 사용된다. 세럼(Serum, SRM)은 크로스 체인 거래를 지원하는 탈중앙화 파생 상품 거래소 프로젝트로 거버넌스 토큰인 세럼(SRM)을 노드에 배치하여 최대 60%의 수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거래에서 얻은 수익으로 소각되며, SerumUSD 스테이블 코인과 SerumBTC로 크로스 체인 계약 및 거래가 가능하다. 비지엑스프로토콜(bZx Protocol, BZRX)은 다양한 가상자산을 담보로 이자를 지급받고 자금을 융통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한 디파이(Defi) 플랫폼이다. 비지엑스(BZRX)토큰은 비지엑스프로토콜의 거버넌스 활동에 필요한 의견 제시 및 투표권을 행사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로토콜 수수료 공유, balancer 마이닝 보상 및 비지엑스 보험 기금에서 인출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토큰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각기 다른 대출 이율을 제공하고 있으며 테더(USDT), 이더리움(ETH), 다이(DAI) 등 11개의 토큰을 지원한다. 샌드박스(SANDBOX, SAND)는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게임 생태계를 바탕으로 게임 크리에이터가 플랫폼 내에서 가상자산(암호화폐)을 취득하고 판매하여, 수익화를 가능하게 하는 탈중앙화된 게이밍 플랫폼이다. 타 […]
2020.09.09
– 앵커와의 투표를 통해 4일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 상장 확정 디지털 자산화 프로토콜 STP(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네트워크가 중국 대형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후오비 글로벌의 패스트트랙(Fasttrack)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상장되었다고 4일 밝혔다. 후오비 패스트트랙은 타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중인 유망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 상장 전 후오비 거래소의 자체 토큰 HT 보유자에게 할인하여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번 12회차 후오비 패스트 트랙에는 STP 네트워크와 앵커(ANKR)가 선정되었으며 HT를 통한 투표를 통해 앵커는 지난 2일, 그리고 STP 네트워크는 4일 12시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다. STP 네트워크의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 상장은 거래에 대한 저변 확대로 블록체인 개발자 및 투자자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STP 네트워크는 글로벌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 인도 거래소 코인디씨엑스, 글로벌 대형 거래소 폴로닉스 등에 상장한 바 있다. 마이크 첸(Mike Chen) STP 네트워크 대표는 “글로벌 대형 거래소인 후오비 글로벌 에 상장하게 되어 기쁘다”며 “거래 저변 확대와 함께 프로젝트에 대한 다양한 업데이트로 더욱 많은 소식을 전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04
플라이빗, 디파이(DeFi) 프로젝트 적극 지원 및 상장 추진
– 와이언 파이낸스(YFI), 폴카닷(DOT), 스시스왑(SUSHI) USDT 및 BTC 마켓 상장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가 디파이(DeFi) 프로젝트인 와이언 파이낸스(Yearn Finance, 이하YFI), 폴카닷(Polkadot, 이하 DOT), 스시스왑(SushiSwap, 이하SUSHI) 등을 연속 상장한다고 3일 밝혔다. 플라이빗은 금일 15시부터 BTC 및 USDT 마켓에서 와이언 파이낸스 (YFI), 폴카닷(DOT), 스시스왑(SUSHI) 토큰을 동시 상장하며, 신속한 매도· 매수 거래 체결을 위해 바이낸스(Binance) 오더북과 연동해서 유동성 공급을 지속한다. 와이언 파이낸스(YFI)는 토큰 대출의 최적화된 수익률을 위해 수익성이 가장 좋은 대출 서비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토큰 대출 시스템을 운영한다. 에이브(LEND), 컴파운드(COMP) 등과 같은 가상자산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탈중앙 생태계로 사용자가 예치한 토큰은 yTokens로 변환되어, 수익성이 가장 높은 대출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재조정된다. 이어 디파이(DeFi)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디파이 상품을 지원하는 폴카닷(DOT)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Interchain) 프로젝트로 무허가 블록체인 및 개인 허가 블록체인 등 체인 간 원활한 데이터 전송은 물론 토큰 및 자산도 크로스 블록체인을 통해 전달이 가능하다. 오픈 거버넌스 시스템으로 DOT홀더, 릴레이 체인 참여자들에게 폴카닷 프로토콜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며 DOT토큰은 표제 제안, 투표 및 본딩을 포함한 거버넌스 결정에 참여하는 데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스시스왑(SushiSwap, SUSHI)은 유니스왑(Uniswap)이 진화한 형태로 유동성 공급을 제공하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으로 기존의 유니스왑과 달리 유동성 공급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스시스왑(SUSHI)에 축적된 프로토콜 비용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스시스왑(SUSHI)은 사용이 가능한 초기 마이닝풀과 연동하여 Uniswap LP(Liquidity Pool) 토큰을 보유한 사람은 누구나 LP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SUSHI 토큰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오세경 플라이빗 마케팅 총괄 이사(CMO)는 “최근 디파이 플랫폼을 통해 거버넌스 토큰을 유동성 마이닝 서비스와 연동하며, 토큰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며, “국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디파이 프로젝트를 계속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0.09.03
플라이빗, 만트라다오(MANTRA DAO) 원화(KRW)마켓 공식 상장
– 업계에서 주목받는 우수한 프로젝트를 발굴 및 적극 지원할 계획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가 오는 24일 커뮤니티 참여형 디파이(DeFi) 플랫폼인 만트라다오(MANTRA DAO, 이하 OM)를 국내최초로 원화(KRW)마켓에 공식 상장한다고 20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만트라다오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을 벗어나 투명성, 보안성 및 포괄성 등 자율적인 거버넌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향한다. 사용자 커뮤니티를 통해 시스템의 운영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를 통해 이를 반영할 수 있다.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공정한 보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커뮤니티의 집단지성을 활용할 수 있는 OM 토큰의 생태계 또한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만트라다오는 생태계에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테이킹, 채권, 대출 등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세 가지 금융 상품을 선보인다. 대표적으로 스테이킹과 렌딩 서비스(Staking & Lending)를 지원하는 동시에 다양한 암호화폐의 디파이(DeFi, 탈 중앙화 금융)를 제공하며 상호 연동이 가능하다. 모든 거래 내역은 Rio Chain 상에서 처리가 가능하며, 다른 네트워크 및 폴카닷(Polkadot) 네트워크와도 연결된다. 오세경 플라이빗 마케팅 총괄 이사(CMO)는 “디파이 업계에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만트라다오를 국내 최초로 원화마켓에 상장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며 “앞으로도 업계에서 주목받는 우수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플라이빗은 지난 18일 컴퓨팅 파워 기반의 해시파워 클라우드 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코인(IPFS) 해시파워 마이닝 사전 페이지를 오픈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1
미라클토큰(MiraQle_MQL), 비트포렉스 8월 28일 상장
미라클토큰(MiraQle, 이하 MQL)이 오는 28일 비트포렉스(Bitforex)에 상장될 예정이다. 미라클토큰 프로젝트는 ‘팬들이 중심인 글로벌 음악 세상을 만들자’는 모토를 중심으로 글로벌 음악 산업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테크테인먼트(Technology+Entertainment)’ 플랫폼을 제안한다. MQL 토큰을 통해 기업 중심의 일방향 산업 구조를 팬 중심의 쌍방향 구조로 개선하고, 팬 투표 문화의 올바른 방향과 기준을 제시하는 등 글로벌 음악 팬들을 음악 산업의 주인공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MQL의 토큰생태계는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조성되었다. 글로벌 음악 팬들이 MQL을 사용하여 팬픽(FanPICK)에서 글로벌 탑 가수들의 앨범을 기획하는 동시에 뮤직큐(MUSICQ) 애플리케이션 통해 팬과 아티스트가 함께 음악을 들으며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고 채팅으로 소통하는 방식이다. 또한 엔터플러스(EnterPLUS) 쇼핑몰에서 앨범, 콘서트 티켓, 아티스트 굿즈 등 다양한 컨텐츠를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고 크라우드 펀딩 참여가 가능하다. 미라클토큰 관계자는 “MQL토큰의 거래량의 집중 및 안정적인 거래 환경 제공을 위해 비트포렉스에 우선 상장하고 향후 신뢰성 있는 국내외 대형 거래소에 추가 상장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한편,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포렉스는 뛰어난 기술력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유망 토큰 위주로 상장을 진행할 계획이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0
매틱 네트워크(Matic Network), 글로벌 거래소 BKEX 상장
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Matic Network)가 한국시간 기준 18일 중국 디지털 자산 거래소 BKEX에 상장했다고 밝혔다. 매틱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으로, 이더리움의 사이드체인과 플라즈마 프레임 워크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확장성을 개선시키는데 앞장서고 있다. BKEX 글로벌은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2018년 설립 하루 만에 약 2억 4000만 USDT 상당의 거래량을 기록했으며, 글로벌 가입자 수 30만 명을 기록했다. 현재 중국 대륙, 홍콩, 한국, 일본, 싱가포르 등 전 세계 200만명 이상의 유저들에게 100종류 이상의 코인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매틱 네트워크 관계자는 “ BKEX 글로벌 거래소 상장은 MATIC 토큰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며, “앞으로도 MATIC 토큰 유동성을 위해 국가별 디지털 자산 거래소 상장에 힘쓸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매틱 네트워크는 5월 3단계로 구성된 메인넷을 출시 최근 6월 1단계를 무사히 마치고 현재 2단계가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9
후오비 글로벌, 바이낸스, 폴로닉스 등 거래소 상장으로 저변 확대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 크로미아(Chromia)가 국내 대형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의 BTC 마켓에 상장되었다고 밝혔다. 업비트는 코인마캣캡 거래량 기준 글로벌 순위 중 9위에 자리매김하고 있는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이자 글로벌 대형 거래소이다. 업비트는 지난 11일 크로미아의 플랫폼 토큰 CHR을 업비트 BTC 마켓에 상장한다고 발표했으며, 공지후 약 2시간 뒤인 오후 4시경 CHR에 대한 거래가 시작되었다. 크로미아는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플랫폼이다. 크로미아 블록체인은 관계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렐(Rell)을 사용하여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크로미아의 업비트 거래소 상장은 거래에 대한 저변을 확대하여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최근 크로미아는 바이낸스, 후오비 글로벌 , 폴로닉스 등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국내는 빗썸에 이어 업비트 거래소까지 상장을 완료했다. 크로미아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 헨리크 옐테(Henrik Hjelte )는 “한국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에 상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크로미아는 최근 메인넷, 스테이킹, 디파이 등 다양한 방면에서 플랫폼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흥미로운 업데이트를 전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3
미라클토큰(MIRAQLE_MQL), 바나나톡과 AMA 진행 호평
미라클토큰(MIRAQLE, 이하 ‘MQL’)이 오는 8월 말 상장을 앞두고 바나나톡과 AMA 이벤트를 진행했다. 이번 이벤트는 16만 명의 한국과 중국의 바나나톡 유저들을 대상으로 지난 8월 6일~7일 양일간 진행됐다. 1일 차는 인터뷰 세션으로 2일 차에는 퀴즈 문답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유저들의 열띤 성원 속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벤트 성과로 미라클토큰(MQL)의 공식 텔레그램 커뮤니티는 단기간에 3,000명이 넘는 유저를 모아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이에 미라클토큰(MQL)은 ‘팬들이 글로벌 음악 산업의 주인공이다’라는 슬로건을 모토로 차별화된 음악의 생태계 모델을 제시하며 기획, 제작, 유통 및 소비를 통한 팬 중심 플랫폼을 제안한다. 팬픽(FanPICK)을 사용할 때 미라클토큰(MQL)을 활용해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앨범을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뮤직큐(MUSICQ)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팬과 아티스트가 함께 음악을 듣고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며 채팅과 소통을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엔터플러스(EnterPLUS) 쇼핑몰에서 앨범, 콘서트 티켓, 아티스트 굿즈 등 다양한 콘텐츠를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해 음악 산업 전반에 팬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했다. 바나나톡 관계자는 “미라클토큰(MQL)프로젝트가 실제 글로벌 콜라보레이션 앨범을 발매했다‘며 ”현재도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콜라보 앨범을 활발하게 제작하고 있는 모습이 유저들에게 신뢰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라클토큰(MQL) 관계자는 “미라클토큰(MQL)이 8월 말 글로벌 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있다”며 “팬들의 관심과 기대에 보답하고자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기대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라클토큰(MQL) 홈페이지는 상장을 앞두고 현재 전면 개편중에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1
-바이낸스, 폴로닉스 등 연이은 거래소 상장으로 접근성 확대-루나와의 투표를 통해 31일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 상장 확정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 크로미아(Chromia)가 중국 대형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후오비 글로벌의 패스트트랙(Fasttrack)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상장될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후오비 패스트트랙은 타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중인 유망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 상장 전 후오비 거래소의 자체 토큰 HT 보유자에게 할인하여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번 11회차 후오비 패스트 트랙에는 크로미아와 루나(LUNA)가 선정되었으며 HT를 통한 투표를 통해 루나는 지난 29일 상장되었으며, 크로미아는 31일 오전 11시에 상장되어 거래된다.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크로미아 블록체인은 관계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렐(Rell)을 사용하여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크로미아의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 상장은 거래에 대한 저변을 확대하여 블록체인 개발자 및 투자자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크로미아는 최근 글로벌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 인도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 와지르 엑스, 글로벌 대형 거래소 폴로닉스 등에 상장한 바 있다. 크로미아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 헨리크 옐테(Henrik Hjelte )는 “중국계 대형 디지털 자산 거래소이자 글로벌 거래소인 후오비 글로벌의 패스트트랙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기쁘다”며 “크로미아는 현재 메인넷, 스테이킹 서비스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흥미로운 사례들을 전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7.31
엑셀레러이터 프로그램 출시 및 한국 거래소 상장으로 저변 확대 지난 16일 미국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 상장 후 연이은 발표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교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가 국내 대표 거래소 빗썸 상장으로 한국 진출을 가속화 한다고 30일 밝혔다. 알고랜드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MIT 명예 교수가 만든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자체 개발한 순수 지분 증명을 기반으로 알고랜드는 프릭션리스(frictionless) 금융 거래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알고랜드의 이번 빗썸 거래소 상장은 한국 및 아시아지역으로 플랫폼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후오비 글로벌 등 글로벌 대형 거래소에 이어 아시아 지역에서도 최근 알고랜드는 보더리스 캐피털 및 롱해시 벤쳐스와 함께 아시아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출범하여 아시아의 주요 블록체인 파트너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알고랜드 빗썸 상장은 오늘 오후 5시로 예정되어 있으며, ALGO 토큰 입금은 오후 2시부터 지원될 예정이다. 알고랜드는 빗썸 상장을 기념하여 26만 ALGO 토큰에 대한 에어드랍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알고랜드 재단의 COO 팡팡 첸(Fangfang Chen)은 “아시아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출시에 이은 한국 대표 디지털 자산 거래소 상장으로 저변을 확대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7.31
블록체인 기반 지식 거래 플랫폼 폴라리스 쉐어, 코박 토큰 세일 프로젝트로 선정
-디컴퍼니가 개발하고 컨센시스의 투자를 유치한 지식 거래 플랫폼-1억명 유저 확보한 폴라리스 오피스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예정 국내 대표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Cobak)이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지식 거래 플랫폼 폴라리스 쉐어를 코박 토큰 세일 프로젝트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폴라리스 쉐어는 지식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분산형 인센티브 지식 거래 플랫폼이다. 폴라리스 쉐어는 전세계 가입자 수 1억명을 돌파한 문서 저장 플랫폼 폴라리스 오피스와 연계하여 사용자들의 온라인 컨텐츠 창작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폴라리스 쉐어는 싱가폴 기반을 둔 디컴퍼니(Decompany)가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 5월 이더리움 공동창업자 조셉 루빈이 설립한 블록체인 개발사 컨센시스(Consensys)로부터 7만 5천 달러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또한, 오피스 소프트웨어 기업이자 폴라리스 오피스의 운영사인 인프라웨어도 폴라리스 쉐어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 코박은 오는 29일 4만 달러 규모의 폴라리스 쉐어 POLA 토큰에 대한 세일을 시작으로, 30일 프라이빗 세일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프라이빗 세일은 최소 구매 금액인 1만 달러 이상을 코박에 예치한 투자자를 대상으로 개별 연락을 통해 진행되며, 비밀유지협약(NDA)를 맺은 투자자는 폴라리스 쉐어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폴라리스 쉐어의 곽민철 대표는 “폴라리스쉐어’는 보상을 통한 사용자의 동기 부여, 양질의 지식 가치 전달, 기업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탈중앙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지식 공유 플랫폼 시장에서의 선두주자가 될 것을 자신하고 있다”고 말하며 “다가오는 코박 토큰 세일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
2020.07.29
블록체인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Matic Network)가 디지털 자산 거래소 프로비트 코리아(ProBit Korea)에 23일 상장 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프로비트 코리아 거래소를 통해 MATIC/USDT, MATIC/KRW를 거래할 수 있다. 매틱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으로, 이더리움의 사이드체인과 플라즈마 프레임 워크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확장성을 개선시키는데 앞장서고 있다. 앞서 매틱 네트워크는 프로비트 익스클루시브의 첫번째 상장 프로젝트로 프로비트 거래소 상장 이전에 토큰 세일을 진행한 바 있다. 프로비트 코리아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프로비트가 지난해 1월 선보인 원화마켓 거래소로 국내 거래소 시장에 프로비트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출시했다. 프로비트 코리아는 메이저 코인을 비롯해 다양한 유망 코인과 토큰을 성장시키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거래소 중 하나이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7.29
플라이빗, ITE 프로젝트 ‘코잼토큰(COJAM Token, CT)’ 선정
– Flybit WoW(플라이빗와우) 두 번째 프로젝트 공개– 토큰 발굴 및 상장 검증 절차를 강화해 고객의 안전한 투자 환경 조성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는 토큰 중개 플랫폼 ‘Flybit WoW’를 통해 코잼 프로젝트(COJAM Project, 이하 CT)를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COJAM프로젝트는 아일랜드 소재의 글로벌 예측 플랫폼 운영 및 가상자산 전문기업 COJAM Limited가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지식, 자연현상, 사회 경제적 문제, 환경변화 등에 대한 궁금증을 묻고 답하는 예치형 설문 온라인 플랫폼이다. 크리에이터들은 질문과 다양한 퀘스트를 생성하고, 유저들은 본인이 참여하고자 하는 퀘스트에서 예치형 투표를 진행해 정답이 채택되는 구조다. 사전에 공지된 개표 일시에 따라 예치현황과 참여자 수 등 모든 투표과정은 투명하게 공개된다. COJAM Limited가 발행하는 CT(COJAM Token)는 COJAM 플랫폼에서 통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 집단지성에 따른 개표 결과에 따라 정답으로 채택된 답안을 선택한 유저에게 예치금과 함께 투표 지분에 따른 보상 배분이 이루어진다. 토큰은 총발행량 50억 개이며, 이중 4백만 개의 CT가 판매될 예정이다. 0.00835 USDT로 1 CT를 구매할 수 있으며, 사전 구매 시 20% 보너스 비율 추가되어 배정된다. 자세한 내용은 플라이빗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세경 플라이빗 마케팅 총괄 이사(CMO)는 “이번 ITE를 통해 CT토큰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해 나가겠다”며 ”토큰 발굴 및 상장 검증 절차를 강화해 고객의 안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플라이빗의 토큰 중개 플랫폼(ITE)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 첫 번째 프로젝트인 MCI는 […]
2020.07.27
아발란체, 퍼블릭 토큰 세일로 5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15일 진행된 토큰 세일을 통해 약 500억원 규모 자금 조달 성공-유명 크립토 펀드의 시드 및 프라이빗 투자에 이은 성공적인 퍼블릭 세일 마무리 코넬대학교 연구진이 주도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발란체(Avalanche)가 플랫폼 토큰 아바엑스(AVAX)에 대한 토큰 세일을 통해 약 5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아발란체는 세계적인 분산원장기술 전문가인 코넬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에민 군 시러(Emin Gün Sirer) 교수가 창립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속도와 확장성을 대폭 개선한 고성능 아발란체(Avalanche) 합의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아발란체는 자체 프로토콜 기반 맞춤형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을 발행할 수 있는 ‘금융의 인터넷’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올 여름 중 메인넷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번 아바엑스 토큰 세일은 15일 저녁 11시부터 약 4시간 30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총 72백만개의 아바엑스가 판매 완료되었다. 세일을 통한 전체 모집 금액은 약 500억원(42백만 달러) 규모에 이른다. 아발란체는 지난 2019년 2월 앤드리슨 호로위츠, 폴리체인 캐피털, 이니셜라이즈드 캐피털 주도의 약 72억원(6백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 유치에 이어, 지난 6월 24일 갤럭시 디지털, 비트메인, NGC 벤쳐스, 드래곤플라이 캐피털 등으로부터 약 143억원(12백만 달러) 규모의 프라이빗 투자 유치에도 성공한 바 있다. 아발란체의 에민 군 시러(Emin Gün Sirer) 창립자는 “이번 토큰 세일은 아발란체가 앞으로 선 보일 수많은 목표 중 첫 단계이며, 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커뮤니티로부터의 지지와 성원에 감사하며, 앞으로 로드맵상 이정표를 계속해서 실현해 나갈것”이라고 밝혔다. […]
2020.07.23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및 인사채용 플랫폼 모티브 프로토콜(MOTIV)이 국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인원(Coinone)에 상장한다고 21일 밝혔다. 모티브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및 인사채용 플랫폼이다. 모비트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이념에 상응하여 보안성, 정보의 정합성을 보장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 교육 및 인재 채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모티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MOV 토큰은 코인원 거래소에 최초 상장한다. 코인원에 따르면, MOV 토큰 거래를 위한 입금 서비스를 21일 오전 10시에 시작하며, 거래는 오후 12시부터 이루어진다. 모티브 변우희 대표는 “모티브가 국내 유명 거래소 코인원에 상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모티브 팀은 블록체인,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교육 및 인사 채용 전반에 새로운 비전과 패러다임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모티브 프로토콜의 첫 번째 핵심 파트너로 건유애듀가 참여한다. 건우애듀는 전국 17개 지자체에 원어민 화상영어 위탁 운영 중이며, 전국 3개 지자체에 실시간 교육 포털을 위탁 운영 중이다. 모티브는 향후 다양한 파트너사를 차례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7.21
블록체인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Matic Network)가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프로비트(ProBit)에서 익스클루시브 토큰 세일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프로비트 익스클루시브의 첫번째 상장 프로젝트로 매틱(MATIC) 토큰이 선정되어 사용자들은 7월 22일 11시부터 23일 11시까지 24시간 동안 MATIC 토큰을 5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토큰 세일이 종료되는 23일 한국 시간 기준 5시에 프로비트 거래소에 MATIC 토큰이 상장된다. 사용자들은 프로비트 거래소를 통해 MATIC/USDT, MATIC/KRW를 거래할 수 있다. 프로비트의 익스클루시브는 유동성이 높고 시장에서 유망하다고 평가되는 토큰을 프로비트 거래소 상장 이전에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프로비트 익스클루시브는 청약 제도로 진행되며, 참여 유저가 정해진 토큰 판매량을 초과하여 신청하였을 시 모든 참여자들은 원래 구매 신청한 양에 비례하여 토큰을 받을 수 있으며, 미달하였을 경우에는 각 참여자들이 신청한 양만큼만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다. 매틱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으로, 이더리움의 사이드체인과 플라즈마 프레임 워크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확장성을 개선시키는데 앞장서고 있다. 한편, 매틱 네트워크는 지난 29일 신규 스테이킹 프로그램을 출시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7.16
전기료와 연동된 차세대 스테이블 코인 기반 디파이 인프라 구축 게이트 거래소 및 코박과 토큰 세일 진행, STP 네트워크와 MTO 예정 기료 연동 차세대 스테이블 코인 미터(Meter)가 국내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의 토큰 세일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고 10일 밝혔다. 미터는 가치 변동이 안정적인 달러나 금 등을 기반으로 하는 대부분의 스테이블 코인과 달리, 10키로와트(kW)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으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산형 금융(DeFi)을 실현하는 프로젝트다. 미터 지분 증명 방식이 아닌 작업 증명 방식을 채택하여 탈중앙화를 지향하며, 전기료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 MTR와 거버넌스에서 사용되는 코인 MTRG로 나뉜다. 이 중 거버넌스 코인인 MTRG에 대한 토큰 세일이 코박에서 오는 14일 진행될 예정이다. 미터는 코박 토큰 세일에 앞서 중국계 거래소인 게이트 아이오 거래소를 통해 스타트업 상장 프로그램으로 자금 모집을 진행하며, 코박 세일 이후에는 STP 네트워크의 마이크로 토큰 오퍼링(MTO) 이벤트도 진행된다. 미터의 창립자인 쟈우한 주(Xiaohan Zhu)는 “차세대 스테이블 코인 기반 디파이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 미터의 첫 번째 단추를 코박과 함께 하게 되어 기쁘다”며 “게이트 거래소를 시작으로 코박, STP 네트워크와 함께 미터의 비전을 알리고 저변을 확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7.14
플라이빗,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 첫 프로젝트 MCI 공개
– 투자자와 프로젝트를 연결시켜주는 토큰 중개 플랫폼을 통해 MCI 토큰 판매 진행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가 토큰 중개 플랫폼 ‘Flybit WoW’를 통해 첫 프로젝트 엠씨아이 프로젝트(MCI Project, 이하 MCI)를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엠씨아이 프로젝트는 미디어 홍보 전문기업 ㈜게임그라운드(대표 Frank Hyunsok)가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및 콘텐츠 제작지원 플랫폼 ‘MCN Star’를 운영하고 있다. 신규 크리에이터 및 중소형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및 채널 육성을 지원하며,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펀딩하거나 공개 투표 방식으로 선발된 재능 있는 크리에이터들을 육성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게임그라운드가 발행하는 MCI(Multi Channel Infulencer) 토큰은 총 발행량 33억개이며, 이중 12만 달러 금액 상당의 MCI(10,000,000 MCI)가 판매될 예정이다. 0.0125 USDT로 1 MCI를 구매할 수 있으며, 사전 구매 시 10% 보너스 비율 추가되어 지급된다. 자세한 내용은 플라이빗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플라이빗은 기존 토큰 판매 방식을 개선한 토큰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시켜주는 Flybit WoW를 론칭한 바 있다. Flybit WoW는 모든 참여자들에게 공정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거래소로 도약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가장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전 세계 투자자들의 거래를 활성화를 위한 프로젝트이다. 오세경 플라이빗 마케팅 총괄 이사(CMO)는 “고객 자산의 안전한 보호와 동시에 쾌적한 거래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있다”며 “철저한 검증 절차를 거쳐 토큰 심사 진행 및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은 물론 첫번째 ITE를 통해 이벤트 및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 […]
2020.07.07
리퍼블릭, 알고랜드 기반 증권형 토큰 ‘리퍼블릭 노트’ 출시
미국 SEC의 규제를 준수하는 전문 투자 기관이 발행하는 증권형 토큰 1,2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 성공 , 16일 리퍼블릭 노트 토큰 세일 진행 미국 기반 프라이빗 투자 플랫폼 리퍼블릭(Republic)이 알고랜드 블록체인 기반 증권형 토큰 리퍼블릭 노트를 이달 16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리퍼블릭에 따르면 리퍼블릭은 지난 3월 알고랜드 기반 토큰 발행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리퍼블릭 노트’ 토큰을 이달 16일 출시하고 판매를 진행한다. 리퍼블릭은 2016년 설립 이후 70만 명 이상의 고객에게 스타트업 및 사모 펀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1억 달러 이상의 누적 투자액을 달성한 전문 투자 플랫폼이다. 리퍼블릭 노트는 리퍼블릭의 기술 전문 지사 리퍼블릭 코어가 알고랜드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으로 발행한 증권형 토큰으로 리퍼블릭이 플랫폼을 통해 창출한 이익을 배당 형식으로 토큰 보유자에게 지급한다. 리퍼블릭 토큰 세일은 총 800만 달러 규모이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를 준수하여 리퍼블릭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적격 투자자에게 우선 판매된다. 그외 일반 투자자들은 향후 모든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판매에 앞서 투자 의향서를 사전 제출할 수 있다. 리퍼블릭 노트는 바이낸스(Binance), 패스포트 캐피털(Passport Captial), 알고랜드 재단(Algorand Foundation), 블록체인 벤쳐스(Blockchain Ventures), 젠 펀드(ZhenFund) 등 업계 유망 펀드의 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사전 판매를 통해 약 1,200만 달러 이상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알고랜드의 W. 숀 포드 COO는 “리퍼블릭 노트 출시는 블록체인의 영역을 넓히고 대중화를 선도할 수 있는 중요 이정표이다.”며 “유망 투자 플랫폼인 리퍼블릭의 증권형 […]
2020.07.03
유럽지역 유일 마스터카드 승인 통한 디지털 자산 사업 프로젝트 빗썸 글로벌 상장으로 아시아 지역 사업 영역 확대 기대 암호화폐 지갑 애플리케이션 기반 원스톱 결제 솔루션 프로젝트인 탭(TAP)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빗썸 글로벌(Bithumb Global)의 USDT 거래 시장에 상장한다고 2일 밝혔다. 탭은 디지털 자산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바탕으로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매매할 수 있으며, 법정화폐를 지원하여 직불 카드를 통한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까지 가능한 크립토 원스톱 결제 솔루션 프로젝트이다. 올해 2월 정식 출시 이후 탭은 6천 명이 넘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유일하게 마스터카드의 승인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법정화폐로 전환하고 규제를 준수하여 고객의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크립토 프로젝트이다. 빗썸 글로벌은 빗썸패밀리 소속의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 국내 거래소인 빗썸, 싱가포르 거래소인 빗썸 싱가포르와 함께 거래소 사업의 주축을 담당하고 있다. 탭의 자체 암호화폐 XTP는 오늘 오전 11시부터 빗썸 글로벌에서 입출금이 가능하며 거래는 오후 6시부터 진행된다. 탭은 이번 상장을 기념하여 빗썸 글로벌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빗썸 글로벌 사용자들과 질의응답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탭의 CEO인 아르센 토르시안(Aresen Torosian)은 “빗썸 글로벌에 상장하여 주요 허브인 아시아 지역까지 사업을 확장하게 되어 기쁘다”며 “탭은 기존 금융과 크립토 기반 신흥 금융을 연결하고 고객들이 안전하게 디지털 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
2020.07.02
포인트 통합 플랫폼 어셈블(ASSEMBLE), 코인원 거래소 상장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포인트 통합 플랫폼 어셈블 프로토콜(ASSEMBLE Protocol)이 국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인원(Coinone)에 상장한다고 15일 밝혔다. 어셈블은 자체 유틸리티 토큰인 ASM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포인트 통합 플랫폼으로, 포인트 제공사, 소비자, 가맹점에 기존 포인트 및 마일리지를 통합, 활용, 수익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한다. 또한, 광고주는 어셈블에 구축된 데이터 인프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광고를 집행할 수 있다. 어셈블의 ASM 토큰이 상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코인원 거래소에서 ASM 토큰을 원화로 사고 팔 수 있게 됐다. 이재범 어셈블 프로토콜 대표는 “어셈블이 한국의 유명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코인원에 상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어셈블 팀은 ASM 토큰 활성화와 유동성 확보를 위해 추가 거래소 상장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어셈블은 최근 블록체인 생태계 보안 전문 업체인 슬로우미스트(SlowMist)로부터 ASM 토큰의 안정성을 검증받았다. ASM은 슬로우미스트의 총 13개의 보안 검증 항목을 문제없이 통과했으며, 디지털자산 거래소 상장에 문제가 없음을 인정받았다. 이 외에도 어셈블은 지난 11일 온라인 패션·쇼핑 앱 스타일닷컴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스타일닷컴은 크롤링 기술을 활용하여 어셈블 마켓플레이스에 경쟁력 있는 상품구성에 기여하고, 5천여 고객사에 어셈블의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라고 전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5.14
블록체인 기반 여행 및 숙박 관련 종합 서비스 플랫폼 루넥스(ROONEX), 코인원 거래소 상장
블록체인 기반 여행 및 숙박 관련 종합 서비스 플랫폼 루넥스(ROONEX)가 국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인원(Coinone)에 상장한다고 23일 밝혔다. RNX 토큰은 중소형 숙박 시설을 대상으로하는 IT 운영 플랫폼인 루넥스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코인원 거래소에서 RNX 토큰을 원화로 사고팔 수 있게 됐다. 국내 거래소 공식 상장은 캐셔레스트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이다. 루넥스는 클라우드형 숙박 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예약, 정산, 이벤트, 구매자재 등 객실 운영을 위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숙박 사업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현재 루넥스는 웨스틴조선, 라마다, 스카이파크, 베니키아 등 다양한 숙박업소에 해당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루넥스 관계자는 “국내 4대 거래소로 손꼽히는 유명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코인원에 상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RNX 토큰 활성화와 유동성 확보를 위해 국내 주요 거래소 상장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루넥스는 최근 경제불황에도 불구하고 지난 3월 여수 라테라스 리조트 150객실, 속초 마리나 베이 344객실 서비스 계약을 확보했으며, 시타딘해운대 468객실 운영시스템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오픈을 진행 중이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4.27
샘슨 모우의 인피니트 플릿 , 유럽 STOKR서 STO 추진
샘슨 모우(Samson Mow)가 이끄는 게임 프로젝트 인피니트 플릿(Infinite fleet)이 유럽 STOKR을 통해 STO(Security Token Offering)을 추진한다. 인피니트 플릿은 21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게임 개발을 위한 투자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STO를 발행한다”며 “이를 위해 룩셈부르크 기반 디지털증권 스타트업인 STOKR 과 파트너십을 맺는다”고 밝혔다. 인피니트 플릿은 워크래프트(Warcraft), 스타크래프트(Starcraft), 포트나이트(Fortnite), 도타(DotA) 등과 같은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온라인(MMO)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미래 시대 여러 행성에 이주해 살고 있는 주인공으로 외계인의 공격으로부터 행성을 보호하고, 영역을 확장하는 미션을 수행한다. 게임 플레이어는 우주선의 함장이 되어 다른 우주선과 연합해 외계인을 공격· 방어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운다. 또 각각의 우주선은 AI(인공지능)을 통해 게임이 진행될수록 새로운 공격 방법과 협력, 전략 등을 배울 수 있다. 사용자들은 게임 이벤트에 참여함으로써 토큰(INF 토큰)을 얻을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토큰을 사용하여 아이템을 P2P (개인간 개인)방식으로 사고 팔 수 있다. 게임과 크립토계 어벤져스..블리자드의 게임디렉터 제이 윌슨 어드바이저•블록스트림은 파트너로 프로젝트에는 워크래프트(War Craft)의 블리자드 게임 디렉터 제이 윌슨을 비롯, ‘던 오브워(Dawn of War)’,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Company of Heroers)’, ‘홈 월드(Home world)’ 출신의 베테랑 게임 개발자들이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리퀴드 네트워크 개발사인 블록 스트림의 샘슨 모우(Samson Mow) CSO가 설립한 만큼 인피니트 플릿은 블록체인 분야에서도 시너지를 더할 것이란 기대가 크다. 샘슨 모우는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고 기업들은 이에 적응하고 혁신해야 한다”며 “인피니트 플릿은 게임과 크립토 업계를 융합하고 연결하는 최초의 비디오 게임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이번 STO에 참여한 투자자들은 인피니트 플릿 수익의 일정 비율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샘슨이 선택한 STOKR, 유럽 STO판매 […]
2020.04.24
블록워치, 뉴스 기반 암호화폐, ‘오픈뉴스토큰’ 오는 30일, 네임빗에 상장
-4월 23일부터 일주일 간 에어드랍 이벤트, 네임빗 KRW마켓에서 거래 가능-네임빗 상장 통해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OPEN NEWS HUB’플랫폼 후속 론칭-유효준 블록워치 대표, ‘기사작성권한’ 기자에서 시민으로, 선순환 생태계 만들어나갈 것 블록체인 전문 언론사, 블록워치(대표 유효준)가 자사의 이더리움 기반 OPEN NEWS TOKEN(이하 ONTO 토큰) 을 국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네임빗에 오는 30일,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9년 4월에 창간한 블록워치는 ‘4차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는 혁신 언론’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지난 4월 29일에 창간되어 독자들에게 블록체인을 비롯한 4차산업 전반 뉴스 콘텐츠를 제공해오고 있다. 네임빗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디지털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로 사용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서비스와 금융권 수준의 안전한 보안솔루션이 주된 특징이다. 블록워치의 ONTO 토큰은 네임빗 원화(KRW) 마켓에서 오는 30일부터 거래 가능하게 된다. ONTO 토큰이 구동되는 플랫폼인 OPEN NEWS HUB는 기존통신사(News Agency)가 다루지못하는 전문영역의 이슈에 대한 정보를 수집과 검증하는 커뮤니티이자 기사를 거래하는News Exchange이다. 즉 N2C(News to Crypto)거래의 기축으로 ONTO(Open News Token)을 사용한다. ONTO는 ERC-20표준으로 발행된 FungibleToken이다. 유효준 블록워치 대표(ONTO 재단 CEO)는 “OPEN NEWS HUB는 Token Economy에 기반한 뉴스 거래소(News Exchange)로서 기존통신사(NewsAgency)와 다르게 기사작성권한이기 자에게 집중되어 있지 않고 각 현장의 시민과 전문가에게 열려있다”며 ”누구나 정보를 제공하고 기사로 가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문가와 커뮤니티의 집단지성을 통하여 수집된 뉴스와 정보에 대한 이슈키핑 및 팩트체크를 수행하고 기여도에 따라 Token을 보상해나갈 것”이라며 “네임빗 상장을 […]
2020.04.24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