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1
25
블록체인 커뮤니티 메신저 서비스인 네스트리(Nestree), 빗썸 커스터디와 전략적 제휴 체결
블록체인 커뮤니티 메신져 서비스인 네스트리와 빗썸 커스터디(사명 ㈜볼트러스트)가 전략적 제휴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네스트리는 자사의 가상자산인 EGG 토큰과 이를 이용하는 파트너사들의 가상자산을 빗썸 커스터디를 통하여 관리한다. 빗썸 커스터디는 지난해 빗썸 코리아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며 사내 벤처로 설립되었으며, 이번달 정식 서비스 오픈을 기점으로 국내 가상자산 커스터디 사업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빗썸 커스터디는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통제된 절차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서비스로 ▲암호화 키 매니지먼트 솔루션(KMS) ▲멀티시그(Multi-signature) 기술 적용 ▲다중 인증체계 지원(Grade A~D단계) ▲고객신원확인(KYC)·자금세탁방지(AML) 적용 등 금융권 수준의 보안시스템을 구축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가상자산 관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네스트리는 빗썸 커스터디의 첫번째 수탁사로 커스터디 서비스를 이용할 예정이다. 빗썸 커스터디 서비스는 9월 서비스 정식 오픈 예정이며, 앞서 빗썸 커스터디는 네스트리 EGG를 활용하여 커스터디 서비스 보안성 테스트를 3개월간 진행하였고, 보안 전문업체를 통하여 안전성 검증에 통과했다. 네스트리는 블록체인 커뮤니티 서비스인 네스트리(NESTREE)를 개발, 운영 중인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네스트리 관계자는 “다양한 대기업과의 제휴 및 삼성 블록체인 월렛 지원 등을 통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블록체인으로 실사용 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실사용 하기 위한 가상자산의 안전한 보관 및 관리는 생태계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 이기 때문에, 네스트리의 가상 자산은 향후 다중화된 권한 위임과 철저한 내부 통제 절차를 거쳐 출금이 가능한 빗썸 커스터디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게 […]
2020.09.23
플라이빗, 가상자산 지갑 솔루션 ‘헤네시스 월렛’ 도입
– 입출금 시스템 안정성 및 안전한 지갑 플랫폼 운영 가상자산 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가 해치랩스의 가상자산 보관 솔루션 ‘헤네시스 월렛(Henesis Wallet)’을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플라이빗은 월렛(Wallet) 서비스의 입출금 관리 안정성과 보안성 강화를 목적으로 헤네시스 월렛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월렛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거래 환경 및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전문기업 해치랩스(HAECHI LABS)가 개발한 가상자산 보관 솔루션 ‘헤네시스 월렛’은 지갑 API 솔루션을 제공하며, 멀티시그(Multising) 기반으로 출금 한도 정책 및 이중 OTP 인증을 통한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갖췄다. 플라이빗은 헤네시스 솔루션 연동 테스트 및 검증을 완료한 이후, 비트코인(BTC)을 비롯해 이더리움(ETH) 기반의 ERC-20 토큰 등 해당 가상 자산의 지갑 기능에 대한 연동 서비스는 9월 말 제공될 예정이다. 오세경 플라이빗 마케팅 총괄 이사(CMO)는 “플라이빗은 거래소 이용자 자산을 보호하는 동시에 자체 보안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며 “연내까지 ISMS 획득하여 신뢰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거래 서비스를 강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도입에 심혈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플라이빗은 지난 6월 블록체인 전문기업 해치랩스와 스마트 컨트랙트 감사 업무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22
– 뜨거운 디파이 열풍 속 정작 디지털자산 이용자들은 무관심– ‘디파이 전혀 알지 못한다’ 답한 국내이용자 무려 75% 수년전 ICO 열풍만큼이나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디지털자산 시장을 새롭게 재편해 나가고 있는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가 정작 디지털자산 이용자들에게는 아직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비둘기 지갑이 전세계 이용자 4,898명을 대상으로 ‘디파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무려 54%가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이어 ‘들어보긴 했지만 잘 알지못한다’고 답한 응답자 역시 17%를 기록하는 등, 무려 71%가 디파이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이 밖에 11% 응답자가 디파이에 대해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다고 답했으며, 이제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했거나 이미 성과를 내고 있을만큼 충분히 경험중이라고 답한 응답자 역시 각각 9%를 기록하였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탈중앙화 방식의 금융거래시스템을 내세우며 엄청난 잠재적 성장가능성을 지닌 게임체인저로 최근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큰 주목받고 있는 디파이의 위상에도 불구, 아직까지 일반 디지털자산 이용자들에겐 이름조차 생소한 또다른 현재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관련 국가별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해외지역 대비 국내 디지털자산 이용자들의 디파이에 대한 관심이나 경험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려 75%의 국내 이용자가 디파이에 대한 전혀 모른다고 답했으며, 들어보긴 했으나 잘 모른다고 답한 이용자도 8%를 기록하였다. 이번 설문조사 관련, 김은태 비둘기 지갑 대표는 “탈중앙화 금융을 통해 보다 많은 이들에게 금융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긍정적 취지에도 불구, 현재 일반대중들이 느끼는 높은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필요해보인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21
블록체인 기반 가상현실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 엘론드(Elrond)와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기반 VR(가상현실) 콘텐츠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가 샤딩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엘론드(Elrond)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디비전 네트워크는 VR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온라인 기반 오프라인 서비스(O2O)를 가능케하며, 유저들이 가상현실 세계를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고, 유저들이 상호 연결되는 새로운 가상현실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엘론드 네트워크는 지난해 6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토큰 출시 플랫폼 ‘런치패드(Launchpad)’에서 토큰 세일을 진행한 프로젝트로 블록체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샤딩 기술을 응용하여 적응형 상태 샤딩 기술을 개발했다. 메타버스는 가상·초월(meta)과 세계·우주(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뜻한다. 디비전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4차 산업혁명 비대면(언택트) 기술을 활용해 가상공간에서 진행되는 전시회·콘퍼런스 등의 MICE 행사를 기획 중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는 디비전 네트워크에서 엘론드의 EGLD 토큰을 사용해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비전은 엘론드의 스마트 컨트랙트 엔진에서 메타버스(metaverse)를 개발해 사용자들에게 향상된 유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디비전 엄정현 대표는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0위 안에 드는 엘론드와의 파트너십을 체결해 비즈니스 및 기술 분야에 상호 협력하여 블록체인 상용화에 힘쓸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젝트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디비전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디비전은 지난 9일 블록체인 기반 레이어 2 확장성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와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
2020.09.18
크립토닷컴, 아시아권 언어 중 최초로 모바일 앱 및 거래소에 한국어 지원
-영어, 프랑스어, 스페이인어 이어 한국어 지원-핀테크 앞선 한국 시장 잠재력 높아-크리스 마자렉 CEO “한국 위한 특별한 로드맵 준비 중” 가상자산 시가총액 9위인 크립토닷컴코인(CRO)을 보유한 결제 및 가상자산 플랫폼 선두기업 크립토닷컴이 17일 한국어 서비스를 개시했다. 그간 크립토닷컴 앱과 거래소가 영어와 프랑스어, 스페인어만을 지원해 한국 사용자들이 불펴을 겪었는데 이제 한국어 출시로 보다 손쉽게 가상자산을 매매하고, 결제하고, 송금할 수 있게 됐다. 크립토닷컴의 앱과 거래소의 한국어 지원이 아시아권 언어 중 가장 먼저 이뤄졌다는 점에서, 크립토닷컴이 한국 시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2018년 현금 유통 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현금 유통 비율은 6%에 그쳐 상당히 높은 수준의 캐시리스(Cashless) 환경이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높은 신용카드 사용율과 급성장하고 있는 핀테크 환경으로 인해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인 크립토닷컴의 한국 사용자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크립토닷컴 공동 창업자 겸 CEO 크리스 마자렉(Kris Marszalek)은 “한국을 위해 특별한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번 출시는 그 로드맵에 있어 첫 걸음일 뿐”이라며, “한국은 자사의 앱과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세 번째 비영어권 언어로, 전 세계로의 가상자산 상용화를 가속하기 위한 당사의 노력은 더없이 견고해졌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더 많은 언어가 추가될 예정이오니 기대해 달라”고 덧붙였다. 현재 크립토닷컴 앱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은 앱 내 환경설정에서 ‘한국어’를, 크립토닷컴 거래소 홈페이지의 경우 메인 화면 우측 상단에서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크립토닷컴은 현재 자사의 선불형 가상자산 비자카드를 유럽, 미국 및 아태지역 국가로 배송하고 있다. 이 외에 가상자산 스테이킹 상품인 크립토언(Crypto Earn), 대출 상품인 크립토크레딧(Crypto Cred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 디파이(DeFi) 열풍에 맞춰 크립토닷컴 디파이 월렛(DeFi […]
2020.09.18
BORA(보라) X 카이엔터테인먼트 테일즈런너 IP 모바일 게임 공동 사업 계약 체결
– 테일즈런너, 국내와 해외 7,000만 명 이상의 유저들이 즐기는 인기 게임– 테일즈런너 IP 기반 모바일 게임을 일반 버전과 블록체인 버전으로 개발, 서비스 예정 – 웨이투빗, 이 외 게임 파트너사들과 개발 중인 다양한 게임들도 시장에 선보일 예정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의 개발사 웨이투빗(대표 송계한)이 카이엔터테인먼트와 모바일 공동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동 사업 계약을 통해 양사는 테일즈런너 IP를 기반으로 모바일 게임을 일반 버전과 블록체인 버전으로 개발하며 되며, 한국을 포함해 글로벌 전 지역에 서비스할 예정이다. 카이엔터테인먼트는 테일즈런너를 개발한 라온엔터테인먼트로부터 테일즈런너 모바일 IP를 확보해 현재 테일즈런너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과 글로벌 유명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고 있다. 테일즈런너는 동화를 배경으로 게임 속 캐릭터가 친구들과 함께 점프, 수영, 스키, 줄타기 등을 하며 달리는 레이싱 게임으로, 국내 1,000만, 해외 9개국(중국, 홍콩, 대만, 태국, 미국,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일본) 6,000만 명 이상의 유저들이 즐기고 있다. 테일즈런너 IP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학습만화, 카드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로도 제작되어 수출되고 있다. 웨이투빗 송계한 대표는 “전 세계 게이머들에게 인기 있는 테일즈런너 IP를 BORA 플랫폼에서 만나보실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외 게임 파트너사들과 개발 중인 다양한 게임들도 시장에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이엔터테인먼트 정현석 대표는 “라온엔터테인먼트와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테일즈런너 IP의 정체성과 게임성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테일즈런너를 사랑하는 전 세계 유저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을 만들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현재 웨이투빗은 다양한 게임의 글로벌 퍼블리싱 서비스와 함께 BORA 아일랜드 계정 ID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채널링 서비스 ‘with BORA’를 제공하고 있으며, BORA 토큰의 획득, 소비, 사용이 가능한 전용 콘텐츠가 접목되는 ‘for BORA’ 버전 게임의 글로벌 서비스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
2020.09.17
블록체인 기반 VR 콘텐츠 플랫폼 디비전(Dvision), 매틱 네트워크와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기반 VR(가상현실) 콘텐츠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가 확장성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디비전 네트워크는 VR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온라인 기반 오프라인 서비스(O2O)를 가능케하며, 유저들이 가상현실 세계를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고, 유저들이 상호 연결되는 새로운 가상현실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매틱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으로, 이더리움의 사이드체인과 플라즈마 프레임 워크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확장성을 개선시키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앞으로 사용자는 디비전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MATIC 토큰을 사용하여 P2P 거래를 할 수 있다. 또한 디비전 네트워크는 가상현실에서 진행되는 EXPO 행사 기간 동안 매틱 네트워크에 광고 캠페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매틱 네트워크는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비전 엄정현 대표는 “디비전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4차 산업혁명 비대면(언택트) 기술을 활용한 전시회·컨퍼런스 등 MICE 행사를 기획 중이다”라며, “앞으로 매틱 네트워크와 기술 및 마케팅 측면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디비전은 지난 4일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 이오스트(IOST)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10
– 디지털자산 이용자 36%, 거래소 선택시 ‘보안’ 최우선으로 꼽아– 거래량/유동성, 수수료 및 등록 디지털자산 등도 거래소 선택에 중요 척도 디지털자산 거래소나 지갑서비스 선택 시 전세계 이용자들의 최우선적 고려사항은 역시나 ‘보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비둘기 지갑이 전세계 이용자 4,96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 거래플랫폼 선택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36%가 ‘보안’을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꼽았다. 이어 디지털자산의 거래량/유동성, 수수료 등을 꼽은 이용자 역시 각각 17%, 15%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거래소 평판 10%, 등록 디지털자산 리스트 10%, KYC/AML 이행 6%, UI 7% 등을 기록했다. 이러한 설문결과는 그간 거래소나 지갑서비스 등 디지털자산 플랫폼과 관련 각종 해킹사고 등으로 인한 신뢰 하락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우량 디지털자산들을 중심으로 자산가치와 예치규모, 거래량 등의 증가 역시 이용자들의 거래소 선택 기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관련 국가별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거래소 선택기준에 있어 ‘보안’은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이용자 경우 무려 절반이상인 51%가 ‘보안’을 가장 중요한 디지털자산 거래소 선택기준으로 꼽았다. 흥미롭게도 국내 이용자 경우 보안과 함께 거래소 수수료 역시 24%를 기록하며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 관련, 김은태 비둘기 지갑 대표는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는 디지털자산의 제도권 편입을 감안할 때, 이용자들의 편익과 보안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거래소들의 서비스 경쟁력 구축이 시급해 보인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08
무비블록, DMZ 인더스트리와 미디어 라이브러리 공동운영
코로나로 영화제에 방문하지 못하는 게스트 위한 온라인 미디어 라이브러리 운영 국내외 영화산업 관계자에 무비블록 경험 기회 제공 및 업계 인지도 향상 목표 블록체인 기반 영화 배급 플랫폼 무비블록이 아시아 대표 다큐멘터리 영화제인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와 손잡고 ‘DMZ인더스트리’의 온라인 미디어 라이브러리를 공동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무비블록은 작년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와 MOU 체결 후, DMZ인더스트리 수상작 두 편의 온라인 상영 및 글로벌 배급을 지원해왔다. 올해에는 9월 21일부터 약 두 달간 무비블록 플랫폼에서 국내외 배급사 및 다큐멘터리 감독 등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게스트들을 위한 프로젝트 러프컷과 트레일러 시청이 가능한 미디어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코로나로 인해 영화제에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게스트들을 위해, 무비블록은 DMZ인더스트리 전용 온라인 페이지를 개설하여 국내외 산업관계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해외 공동제작이나 투자 등의 기회를 찾는 다큐멘터리 창작자들의 러프컷 및 트레일러를 볼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하고 이에 대한 시청데이터를 DMZ 인더스트리에 제공하여 창작자 간 교류를 위한 가교 역할에 나선다고 밝혔다. 무비블록 강연경 대표는 “이번 협업 및 미디어 라이브러리 제공을 통해 국내외 산업 관계자과 다큐멘터리 창작자들에게 무비블록 플랫폼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업계 내 인지도 향상을 기대한다. 그 외로도, 영화제와 창작자에게 중요한 콘텐츠 재생 관련 데이터의 세분화 목표 또한 달성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08
블록체인 기반 VR 콘텐츠 플랫폼 디비전(Dvision), 이오스트(IOST)와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기반 VR(가상현실) 콘텐츠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가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 이오스트(IOST)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디비전 네트워크는 VR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온라인 기반 오프라인 서비스(O2O)를 가능케하며, 유저들이 가상현실 세계를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고, 유저들이 상호 연결되는 새로운 가상현실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오스트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신뢰성증명(PoB) 합의알고리즘 기반의 암호화폐 인프라 플랫폼이다. 이오스트는 초고속 트랜잭션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해 효율성과 확장성이 향상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오스트는 이달 일본 최대규모의 거래소 코인체크 상장을 앞두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해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 비즈니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앞으로 기존 이오스트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는 디비전 네트워크 플랫폼에 이오스트 기반 자산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디비전은 디비전 플랫폼 내에서 이오스트에 광고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이오스트는 맞춤 타겟 중심의 광고 배너를 통해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비전 관계자는 “이오스트와의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마케팅, 기술개발 등 서로 협력하여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디비전은 최근 블록체인 생태계 보안 전문 업체인 슬로우미스트(SlowMist)로부터 디비전의 DVI 토큰 안정성을 검증 받았다. DVI는 슬로우 미스트의 총 13개 보안 검증 항목을 문제없이 통과했으며, 디지털 자산 거래소 상장에 문제가 없음을 인정받았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9.04
크립토닷컴페이, 모든 ERC-20 월렛에서 CRO 결제 지원
-크립토닷페이, ERC-20 월렛 결제 지원 -크립토닷컴페이 가맹점, 3000만 이상 규모의 고객 확보-거래수수료 없고 결제수수료 0.5%로 낮아 신용카드 대비 강점-크립토닷컴 앱 ‘페이 리워드’ 결제 시CRO 캐시백 혜택 제공 시총 9위 CRO를 발행·운영하는 크립토닷컴(Crypto.com)이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자사 온라인 가맹점 결제 솔루션인 크립토닷컴페이(Crypto.com Pay)를 통해 모든 ERC-20 월렛에서 CRO로 결제가 가능하게 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크립토닷컴페이 업데이트로 CRO 결제 방법이 보다 다양해지고 거래량이 증가해, 가맹점들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현재 ERC-20 월렛 사용자 수는 가상자산 산업 전반에 걸쳐 약 300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압도적으로 많은 사용자 수는 곧 사업 개발에 있어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기도 하다. 크립토닷컴은 한층 더 개선된 크립토닷컴페이를 통해 가맹점들은 모든 ERC-20 월렛으로 결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크립토닷컴의 CRO 코인이 한층 대중화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누구든지 Ledger, BC Vault, Travala.com과 같은 ERC-20 월렛을 보유하고 있다면 크립토닷컴페이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맹점들은 소비자가 어떤 월렛을 사용하든 상관없이 3000만명 이상의 대규모 고객 기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크립토닷컴은 2018년 크립토닷컴페이 출시 이후 렛저(Ledger), 코인질라(Coinzilla)와 같은 가맹점, 그리고 우커머스(WooCommerce), 오빗 탭(Oveit tap)과 같은 플랫폼이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크립토닷컴페이는 거래 수수료가 없고 결제 수수료가 0.5%에 불과해 신용카드보다 가맹점에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결제 프로세스에 비해 수수료가 80% 저렴하며, 변동성이 낮고 가맹점에 크립토닷컴페이 통합이 매우 용이하다. 고객들에게 크립토닷컴페이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기 원하는 가맹점은 https://merchant.crypto.com/users/sign_up에서 신청하면 된다. 크립토닷컴페이 사용자에게도 혜택이 제공된다. 크립토닷컴 앱의 ‘페이 리워드(Pay Rewards)’를 통해 모든 결제 건에 대해 CRO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크립토닷컴 앱 이외의 월렛으로 결제하는 소비자 또한 거래소에 10,000 CRO 스테이킹 혹은 크립토언(Crypto Earn) 3개월 10,000 CRO을 예치한 앱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
2020.09.02
그라운드X,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카카오-삼성전자와 손잡고 2020 제주 블록체인 해커톤 공동 주최
– 오는 9월 18-20일 3일간 2020 제주 블록체인 해커톤 온라인 개최– 그라운드X-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카카오-삼성전자 4사 공동 주최– 클레이튼 기반 API 서비스인 KAS와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 SDK 및 삼성 블록체인 플랫폼 SDK 활용 가능성 모색– 9월 13일까지 해커톤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심사 통해 총 40팀 선발하여 총 4팀 시상 예정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대표 한재선)가 블록체인 개발자 커뮤니티 확대 및 생태계 발전을 위해‘2020 제주 블록체인 해커톤’에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이하 제주센터), 카카오, 삼성전자와 함께 공동주최자로 참여한다. 2020 제주 블록체인 해커톤은 블록체인 기술과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행사다. 오는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그라운드X는 2018년과 2019년에 이어 세 번째로 제주센터와 협력하여 해커톤에 참여한다. 특히 올해는 카카오와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참가자들은 서비스 시연 영상이나 사업 설명서를 제작하여 제출하고 심사위원 평가를 통해 최종 4개 팀을 우수팀으로 선발할 예정이다. 심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이유가 합당한지, 문제의 정의가 명확하며 도출된 솔루션이 적합한지, 솔루션의 제안이 구체적이며 현실적으로 작동하는지 등을 기준으로 선정하게 된다. 그라운드X가 자체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의 BaaS (Blockchain-as-a-Service)향 API 서비스인 KAS(Klaytn API Service)와 삼성전자의 삼성 블록체인 SDK 및 삼성 블록체인 플랫폼 SDK 사용시 가산점이 부여된다. 우수팀 4팀에는 각 총 400만원의 상금과 다양한 상품이 지급된다. 또,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제주시 원도심 내 혁신창업거점 W360에서 진행되는 비즈니스캠프에 참여할 수 있다. 비즈니스캠프는 그라운드X, 카카오 그리고 삼성전자에서 제공하는 블록체인 강의 및1:1 멘토링을 통해 해커톤에서 개발된 서비스의 사업화를 위한 집중 점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그라운드X 한재선 대표는 “제주센터, 카카오, 그리고 삼성전자와 함께 2020 제주 블록체인 해커톤을 주최하게 되어 의미가 남다르다”며“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에 앞장서고 또 개발자 지원을 위한 기회를 적극 마련하여 블록체인 산업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밝혔다. 또, “하반기 출시 예정인 KAS를 이번 제주 해커톤을 통해 미리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을 좀 더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0 제주 블록체인 해커톤에 참가를 원하는 팀은 내달 13일까지 해커톤 공식 홈페이지 (jjbw.io)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심사를 거쳐 총40개 팀을 선발한다. 최종 선발자는 9월 16일 홈페이지에 발표된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31
프리미엄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어닥스가 다가오는 9월 1일 그랜드 리뉴얼을 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뉴얼에서 코어닥스는 전반적인 홈페이지 UX, UI 디자인 변경을 포함해 시스템 보안 솔루션 추가 설치 및 시스템 용량 증설, 신규 서비스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화투자증권, 삼성증권, 대신증권 등 약 20년간의 금융IT솔루션 공급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작된 코어닥스 거래소는 리뉴얼 이전에도 24시간 이상거래탐지, 해킹방지 모니터링, 100% 쿨월렛 시스템 도입으로 이미 높은 보안수준을 갖춘 거래소로 알려져 있었다. 최근에는 국내 시중은행의 96%가 사용하고 있는 다우존스 리스크 앤 컴플라이언스(Dow Jones Risk & Compliance)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자금세탁방지(AML)에도 본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었다. 코어닥스는 이번 리뉴얼 오픈에서 잠재력 있는 프로젝트를 합리적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씨드닥스(Seed-Dax)와 고이율 프리미엄 디파이(DeFi) 서비스인 하이닥스(High-Dax)를 최초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9월 7일부터는 신개념 재테크 추천인 이벤트인 코닥프렌즈를 한달간 진행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벤트 기간동안 추천인은 지인에게 자신의 프렌즈 코드를 추천하면 12개월동안 지인의 거래 수수료 50%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으며, 프렌즈 코드를 입력하고 코어닥스에 가입하는 신규 회원도 3개월동안 거래 수수료 50%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 코어닥스의 CS서비스도 한층 강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24일부터는 야간 CS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어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야간에도 전화문의가 가능하다.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 그리고 점심시간인 12시 30분부터 13시 30분을 제외하고 거의 24시간 가까이 CS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거래소 이용 편리성을 높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
2020.08.27
무비블록 사이트 내 영화제 개쵤르 위한 전용 상영관 페이지 개설총 70여편의 경기영화학교연합 상영작을 무비블록 플랫폼을 통해 선보일 예정 블록체인 기반 영화 배급 플랫폼 무비블록이 경기영화학교연합의 제6회 경기필름스쿨페스티벌을 온라인 영화제로 개최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무비블록에 따르면 경기필름스쿨페스티벌 2020은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상영작의 보안 및 온라인 영화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무비블록과 손잡고 온라인 영화제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무비블록은 온라인 영화제 개최를 위한 전용 상영관 페이지를 개설하며 이번 영화제는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개최되는 온라인 영화제에 초청작 70편을 무비블록 플랫폼에서 선보인다. 온라인 상영관은 스마트폰과 PC로 접속 및 관람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온라인 상영관을 통해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은 관람 후 직접 평점 및 댓글을 남길 수도 있게 된다. 무비블록과 경기영화학교연합은 올해 처음 시도하는 온라인 전용 상영관을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춘 영화제의 새로운 모델로 정착 시켜 나갈 계획이다. 무비블록과 같은 OTT 플랫폼과 영화제의 만남으로 영화 산업의 발전이 기대된다. 강연경 무비블록 대표도 “5-6월에 진행한 계원예고 온라인 영화제 개최 경험과 온라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영화제 및 영화 산업과 상생할 수 있는 협력 관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7
포인트 통합 플랫폼 어셈블(ASSEMBLE), 클럽 O2O 플랫폼 클럽패스와 업무 협약 체결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포인트 통합 플랫폼 어셈블 프로토콜(ASSEMBLE Protocol)이 국내외 50여 클럽을 연결하는 클럽O2O 플랫폼 클럽패스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어셈블은 자체 유틸리티 토큰인 ASM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포인트 통합 플랫폼으로, 포인트 제공사, 소비자, 가맹점에 기존 포인트 및 마일리지를 통합, 활용, 수익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한다. 또한, 광고주는 어셈블에 구축된 데이터 인프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광고를 집행할 수 있다. 클럽패스는 누적 다운로드 수 약 48만 건, 총회원 수 23만 명을 보유하고 있는 앱으로 한국의 클럽 문화를 선도하는 국내 유일 클럽 O2O(Online to Offline) 앱이다. 국내 26개의 클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티켓(패스권) 판매 및 실시간 리뷰,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럽 입장 촉진을 위한 패스권 판매를 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월평균 티켓 다운로드 수가 4만 건에 달한다. 이번 제휴를 통해 어셈블은 토큰 생태계에 클럽패스를 포함할 예정이다. 평소 포인트 사용에 관심이 많은 20~30대가 주를 이루는 클럽패스 회원들은 어셈블 마켓플레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클럽패스는 새로운 티켓 유통사가 생기는 셈이다. 박규도 클럽패스 대표이자 어셈블 프로토콜 공동 창업자는 “클럽패스는 향후 약 8조 원 규모의 EDM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라며, “클럽패스의 회원과 다양한 파트너 클럽은 어셈블의 초기 포인트 시장 안착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어셈블은 지난 5월 온라인 패션·쇼핑 앱 스타일닷컴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스타일닷컴은 크롤링 기술을 활용하여 어셈블 마켓플레이스에 경쟁력 […]
2020.08.26
레빗에이아이(REBIT AI, 대표 신동준)는 중국 대형 거래소인 오케이블록체인캐피탈과 파트너를 맺고 전략적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에 앞서 지난 6월 제네시스 캐피탈로부터도 토큰 매입 방식의 투자를 끌어낸 바 있다. 오케이블록체인 캐피탈은 세계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오케이이엑스(OKEx)의 산하기관으로 블록체인 전문 벤쳐캐피탈(VC)이다. 오케이이엑스(OKEx) 거래소는 2017년 설립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 일 거래량 기준 5위, 일 사용자는 수백만 명에 대형 거래소이다. 오케이블록체인캐피탈은 최근 레빗의 SKT, 페이키 등 국내외 대형 기업들과의 지속적인 서비스 계약과 캐시보드 사용자 확대 등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여 투자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 유치를 끌어낸 레빗의 투자앵커사인 ㈜어셈블록 윤승아 대표는 “제네시스 캐피탈 투자유치에 이어 메이저 거래소 산하의 VC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게 되어 고무적이며 이번 투자를 통해 레빗의 중국진출과 글로벌 거래소 진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레빗의 신동준 대표는 “기술력과 사업성, 그리고 성장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며 이를 통해 개발력과 마케팅 및 글로벌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오케이 그룹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국 및 동남아 대상 서비스에도 많은 시너지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레빗은 입력 솔루션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빅데이터 사업을 하는 글로벌 플랫폼이다. 레빗의 입력 솔루션은 삼성전자 Galaxy S8~10의 기본 키보드로 탑재될 정도로 그 기술력이 검증되었으며, 최근에는 핀테크. 터치스크린 등의 사업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5
교육 및 인사채용 플랫폼 모티브, 슬로우미스트 보안 검증 완료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및 인사채용 플랫폼 모티브가 블록체인 전문 검증 업체 슬로우미스트(SlowMist)로부터 보안 검증을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모티브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및 인사채용 플랫폼이다. 모티브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이념에 상응하여 보안성, 정보의 정합성을 보장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 교육 및 인재 채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슬로우미스트는 2018년 1월에 설립된 중국 샤먼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생태계 보안 전문업체이다. 설립이래로 디지털자산 거래소, 디지털자산 지갑, 스마트 컨트랙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총 800개 이상의 보안 검증을 수행했다. 대표적인 고객으로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 후오비(Huobi), 오케이엑스(OKEX), 퍼블릭 블록체인 이오스(EOS) 등이 있다. 이번 보안 감사를 통해 모티브 프로토콜은 자체 토큰인 MOV의 안정성을 슬로우미스트로부터 검증받았다. MOV는 슬로우미스트의 총 13개의 보안 검증 항목을 통과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상장에 문제가 없음을 인정받았다. 모티브 변우희 대표는 “슬로우미스트의 보안 감사를 통해 모티브의 보안성과 정합성을 높이고 투명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라며, “모티브 팀은 블록체인,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교육 및 인사 채용 전반에 새로운 비전과 패러다임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4
피르마체인, 글로벌 게임 커뮤니티와 전자계약 상용화 추진
지비티 커뮤니티(ZBT) 운영 중인 넷캐스트와 전자계약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전자계약 플랫폼 피르마체인(FirmaChain)이 글로벌 게임 자산 거래 커뮤니티 지비티(ZBT, 이하 지비티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넷캐스트(NETCAST)와 전자계약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피르마체인은 넷캐스트에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계약 서비스 도입을 협력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상용화하고 활성화하는 것이 골자다. 지난 14일 피르마체인은 새로운 로드맵 발표를 통해 글로벌 사업 확장을 예고한 바 있다. 이번 파트너십 역시 피르마체인의 글로벌 사업 영역 확장 및 로컬 파트너사 확보에 대한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지비티 커뮤니티는 스팀(STEAM) 플랫폼 기반의 게임 아이템 거래 사이트로, 중국 최대 게임 아이템 상거래 플랫폼으로 알려진 C5GAME에서 론칭했다. 현재 도타2(DOTA2),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CS: GO), 하이즈(H1Z1) 등의 게임을 지원 중이다. C5GAME은 현재 지비티 커뮤니티의 파트너사로 협력 중이다. 지비티 커뮤니티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아이템 거래, 보상, 수수료 공제 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도록 가상자산(암호화폐) ZBT를 개발한 바 있다. 아이템 거래 시 구매자는 법정화폐나 ZBT로 충전해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가격과 비례하는 ZBT를 현금화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다. 피르마체인 윤영인 대표는 “넷캐스트가 가상자산을 지원하는 글로벌 거래 시스템을 보유한 만큼 친 블록체인 환경을 통해 피르마체인의 전자계약의 상용화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편, “얼마 전 발표한 로드맵과 같이 하반기부터 2021년까지 글로벌 사업 확장을 비롯한 FCT의 신규 거래소 상장, DeFi 지원을 위한 파트너십, 댑(DApp) 고도화, 메인넷 론칭, SDK 개발 등 피르마체인이 국내외에서 상용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4
코박 디파이(DeFi⋅탈중앙 금융) 간편 예치 서비스 출시디카르고 첫 프로젝트 선정, 월리 5% 상당 디파이 상품 런칭 국내 대표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Cobak)이 토큰 간편 예치 상품을 출시하며 디파이(DeFi) 시장에 진출한다고 21일 밝혔다. 첫 번째 디파이 상품은 최근 업비트 거래소에 최초 상장된 디카르고(DKA) 이다. 코박에 따르면 코박은 올해 초부터 디파이 금융 상품 출시를 준비해왔으며 최근 개발을 마치고 디카르고와 함께 첫 번째 디파이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디카르고는 차세대 개방형 블록체인기반 물류 데이터 플랫폼으로 자체 토큰 DKA를 통해 보상을 지급하고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디카르고는 글로벌 물류 플랫폼인 델레오 코리아(deleo Korea), 카카오페이 배송 등을 주요 파트너사로 두고 있다. 새롭게 출시될 코박 디파이 상품은 총 3,000,000 DKA에 대한 토큰 예치를 목표로 진행되며, 코박 지갑 내 DKA를 보유한 회원은 예치 상품 구매 페이지를 참여할 수 있다. 해당 상품을 통해 모집된 토큰 전량은 약 30일간 락업 상태로 전환되며, 월 5%(연 60%) 이율의 이율이 적용되어 이자가 제공될 예정이다. 코박 이민준 디렉터는 “이번 디파이 예치 상품은 코박이 새롭게 도전하는 첫 투자 상품이며 실제 유저들이 수익을 가져갈 수 있도록 준비한 만큼 많은 분들이 참여하길 기대하고 있다”며 “디카르고와 협력을 통해 디카르고 커뮤니티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어 기쁘다.” 라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1
– 무비블록, 독립PD협회와 코로나19 다큐멘터리 투자 제작– 총 3개의 에피소드, 20분 분량으로 제작 예정 블록체인 기반 영화 배급 플랫폼 무비블록이 판도라 TV, 독립PD협회와 함께 코로나19를 주제로 숏폼 다큐멘터리 (Short-form Documentary) 3편에 대해 투자 제작을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무비블록 코로나19 숏폼 다큐멘터리는 장기간 지속되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2차 대유행의 공포 속에 위축된 사회 위기와 피해, 그리고 이러한 상황 속 새로운 방식으로 사는 사람들 (뉴노멀 시대)에 대한 주제로 제작된다. 2020년 7월부터 기획된 해당 다큐는 총 3개의 에피소드와 편당 20분 분량으로 제작될 예정이며 제작 및 편집을 진행하여 10월 중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또한, 이번 다큐멘터리 제작에는 강호준, 박정남, 이명우, 변시연 감독, 이김보라 작가, 그리고 박소영 작가가 참여하며, ‘넛잡’의 안홍주 프로듀서, 세월호 다큐 ‘부재의 기억’으로 92회 아카데미 시상식 단편 다큐멘터리 상을 수상한 감병석 프로듀서가 프로젝트 고문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제작된 영상은 무비블록 유튜브 채널에서 예고편이 공개될 예정이다. 무비블록은 강연경 대표는 “이후에도 다양한 숏폼 영상에 대한 제작 투자를 이어갈 것” 이라고 밝혔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20
가장 매력적인 장기투자 자산, ‘금’보다 ‘암호화폐’ 선호한다
– 디지털자산 이용자 34%, 장기투자 선호 자산으로 ‘암호화폐’ 꼽아– 주식 20%로 부동산, 금, 현금 등 보다 높게 평가 전세계 디지털자산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기투자 자산으로 ‘암호화폐’를 꼽았다. 최근 비둘기 지갑이 전세계 이용자 6,815명을 대상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가장 매력적인 투자상품’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무려 34%가 ‘디지털자산’을 선택, 20%를 기록한 주식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부동산이 12%, 금/원자재, 현금, 지적재산권 등이 각각 9%, 8%, 6%를 기록했다. 관련 국가별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장기적 투자상품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선호현상은 콜롬비아, 모로코, 에쿠아도르, 중국, 일본, 이집트, 남아프리카 등 전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고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경우 디지털자산을 선택한 이용자가 무려 54%에 이를 정도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국내 이용자들 역시 암호화폐가 29%를 차지하며, 부동산, 주식, 금/원자재 대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번 설문조사 관련, 김은태 비둘기 지갑 대표는 “코로나 사태 장기화와 함께 미국 달러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 속 해외 메이저 금융기관들의 암호화폐 투자 움직임, 암호화폐시장의 법적 지위 개선 등 여러 경제상황이 맞물리면서 장기적 대체자산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9
-익스피디아, 아고다, 부킹닷컴 등과 제휴를 맺고 있는 글로벌 여행 플랫폼– 트라발라 닷컴의 결제 수단으로 STPT 추가 디지털 자산화 프로토콜 STP(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네트워크가 바이낸스가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 숙박 예약 플랫폼 트라발라닷컴(Travala.com)의 결제 수단으로 추가되었다고 18일 밝혔다. 트라발라닷컴은 바이낸스가 운영중인 온라인 여행 예약 플랫폼 트래블바이비트(TravelbyBit)가 지난 5월 인수한 여행 플랫폼이다. 트라발라닷컴은 익스피디아(Expedia), 아고다(Agoda), 부킹닷컴(Booking.com) 등 글로벌 대형 온라인 여행사와의 제휴로 전 세계 약 230개국 200만개 숙소에 암호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제휴로 STP 네트워크의 자체 토큰인 STPT가 트라발라닷컴의 결제 수단으로 추가되며 STPT 토큰 보유자는 트라발라닷컴에서 STPT로 여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 트라발라닷컴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USDT) 등 메이저 암호화폐와 자체 플랫폼 토큰 아바(AVA) 등을 통한 결제가 가능하다. 후안 오테로(Juan Otero) 트라발라닷컴 대표는 “STP 네트워크 생태계와 커뮤니티를 통해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우리의 핵심 파트너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으며, STP 네트워크의 CEO 마이크 첸(Mike Chen)은 “트라발라닷컴과의 협력으로 STPT 토큰의 사용처를 확대하며, 글로벌 대형 온라인 플랫폼에 STPT를 통한 결제 옵션을 추가하게 되어 기쁘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8
라온화이트햇,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날개 달고 보안 컨설팅 사업 적극 확대
– 지난해 ISMS 인증 획득 이어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지정…보안 서비스 전문 기업 위상 높여– ‘디지털 뉴딜’ 맞아 더욱 중요해진 주요 IT 기반시설 보호 위한 전문 서비스 제공할 것 라온화이트햇(대표 이정아)이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으로 지정됐다고 18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 평가 업무, 보호대책 수립 업무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게 수행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업체를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으로 지정한다. 이번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지정에 앞서 라온화이트햇은 2019년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ISMS 인증은 국내 최고 수준의 종합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으로, ISMS 인증 획득에 이어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으로 지정된 것은 라온화이트햇이 전문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라는 방증이라 할 수 있다.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으로 지정된 20여 개 업체 중에서 ISMS 인증을 함께 보유한 업체는 라온화이트햇을 포함해 10여 곳에 불과하다. 라온화이트햇은 수년간 공공, 금융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독자적인 컨설팅 방법론을 기반으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P) 컨설팅, 정보보호경영시스템 인증(ISO27001) 컨설팅 등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또한 차별적인 해킹•방어 기술을 통한 프리미엄 모의해킹, 주요 IT 인프라 및 서비스 취약점 분석•검증, 개선 방안 제공 등 전문적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이번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지정을 계기로 라온화이트햇은 공공, 금융 등 기반시설 정보보호 컨설팅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라온화이트햇 이정아 대표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 추진으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면서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라온화이트햇은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지정을 계기로 그간 축적해온 세계 최고 수준의 모의해킹 기술력 및 노하우를 활용해 차별화된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라온시큐어㈜의 자회사인 라온화이트햇은 2012년 설립 이후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위협 분석전문가, 일명 화이트해커(White Hacker)를 지속적으로 양성해온 보안 전문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세계 최대의 해킹•방어 대회인 미국 데프콘(DEFCON CTF 2015, 2018) 우승을 비롯해 국내외 주요 해킹 대회에서 50여회 수상한 화이트해커들이 소속되어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미래창조과학부/KISA 최정예 사이버보안 인력(K-Shield) 양성 파트너 훈련기관 선정되기도 한 라온화이트햇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된 노하우로 국내 사이버 보안 인력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비대면 온라인 보안 실습 심화 교육 서비스 ‘라온 CTF 엑스퍼트(Raon CTF Expert)’를 런칭한 바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8
온체인 자산에 대한 보안 강화를 위한 협업 진행 예정 디지털 자산화 프로토콜 STP(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네트워크가 디브이피(Decentralized Vulnerability Platform, DVP)자산 발행에 대한 보안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디브이피는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앙화된 결함 발견 보상 플랫폼이다. 디브이피는 정보 보안 전문가(White Hats) 국제 커뮤니티를 주도로 결함을 찾은 참여자(화이트해커)에게 자동 보상 시스템을 통해 인센티브를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양사는 STP 네트워크 생태계 기반 온체인 자산에 대한 취약성 및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 프로그램을 제공을 목표로 협력한다. ST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자산을 발행하는 프로젝트와 STP 네트워크 생태계 파트너들의 온체인 자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디브이피는 정보 보안 전문가를 초청하여 보안테스트에 참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STP 네트워크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소싱하여 다양한 사례 구축을 도모한다. STP 네트워크의 CEO인 마이크 첸(Mike Chen)은 “디브이피와의 협력으로 온체인 자산들의 보안을 강화하고 보다 안전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해나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4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에서 비상장주식 조합 가입 증명 확인한다
– ‘엔젤리그’의 비상장주식 조합 가입 확인서에 NFT 기술 입혀 클립의 디지털 카드로 발급–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안전하게 보호···카카오톡 내 클립에 보관하여 접근성·편의성 대폭 강화– 가상자산 및 게임 아이템을 넘어 증명서, 티켓, 쿠폰 등 개인의 다양한 자산을 클립에 보관하여 소유권 증명 확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대표 한재선)가 자체 개발한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Klip)에서 비상장주식 플랫폼 ‘엔젤리그’의 공동 투자 조합 가입 확인서를 NFT (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 기반 디지털 카드로 발급한다고 밝혔다. 엔젤리그는 커뮤니티형 비상장주식 거래 플랫폼 서비스로, 프리 아이피오(Pre-IPO; 상장 전 단계)에 있는 유망 스타트업의 주식을 일반투자자들이 조합원을 이끄는 ‘리드엔젤’과 함께 공동 매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리드엔젤의 선정부터 조합 생성, 조합원 모집, 주식 매매 계약 체결에 이르는 전 과정이 플랫폼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뤄진다. 현재 마켓컬리, 리디북스, 뷰노 등의 클럽딜이 진행 중에 있다. 엔젤리그는 공동 주식 투자에 참여한 개인 투자자들의 조합 가입 확인서를 그라운드X가 개발한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 내 NFT 기반 디지털 카드 형태로 발급하여 제공하기로 했다. 디지털 카드는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에 영구 저장되며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8월 전에 진행된 클럽딜에 참여한 조합원들의 디지털 카드는 8월 중 순차적으로 발급될 예정이며 8월 클럽딜 참여자 역시 조합 생성 완료 후 클립을 통해 디지털 카드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가입 확인 문서를 1,000여 명의 조합원들에게 일일이 개별 발송해야 했다. 또, 문서 유실 시 재발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클립의 디지털 카드로 대체함으로써 손쉽게 관리하고 인증할 수 있게 됐다. 조합원의 실명과 전화번호만을 기반으로 디지털 카드를발급할 수 있으며, 또 NFT화하여 개인의 고유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장하고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 또 이를 카카오톡을 통해 접근할수 있는 클립 내에서 확인하고 증명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또한 강화했다. 디지털 엔젤리그 조합 가입 확인서는 그라운드X에서 제공하는 NFT 디지털 카드 발급 툴인 ‘클립 파트너스(Klip Partners)’를 통해 생성된다. 간편한 UI 및 UX를 바탕으로 외부 기업들이 카드를 직접 손쉽게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Tool)이다. ‘카드 템플릿 생성,’ ‘카드 템플릿 조회,’ 및 ‘보유 카드 조회’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클립을 통해 NFT 기반 디지털 카드를 활용하고 싶은 외부 기업은 그라운드X와 사전 협의하여 클립 파트너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라운드X 한재선 대표는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을 통해 엔젤리그 조합 가입을 확인하고 증명함으로써 접근성 및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안전하게 보호한다”며 “또 쉬운 디지털 카드 형태로 발급함으로써 유저들이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말했다.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의 스타트업 및 회사들과 협력하여 증명서, 쿠폰, 티켓 등을 활용한 NFT 사례를 발굴할 것”이라며 “이는기업의 블록체인 사업 확장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또 반대로 엔젤리그와 같은 스타트업들이 주 사업 및 개발 등 본질에만 집중할 수 있는기회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엔젤리그를 운영하는 캡박스 오현석 대표는 “엔젤리그의 조합 가입 증명을 클립의 NFT 디지털 카드를 통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영적측면의 번거로움도 덜고 또 조합원들의 편리성도 강화했다”고 말했다. “이후 비상장 주식에 대한 소유권을 클립을 통해 양도할 수 있는방안으로도 확대할 것”이라며 “그라운드X와 함께 금융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여러 NFT 사례를 발굴할 것”이라고 밝혔다. NFT 기반 엔젤리그 디지털 카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카카오톡 모바일 앱 우측 하단의 ‘더보기’ 탭 내 ‘전체 서비스’ 메뉴를 통해 클립에접속한 후, 메인 화면에 안내된 프로젝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더노디스트(TheNodi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
2020.08.13
TRENDS
HOT WORDS
Sorry. No data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