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
25
개요 ■ 이름: 찰리 리(Charlie Lee) ■ 국적: 코투디부아르 ■ 형제: 중국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 BTCC 대표 ‘바비 리(Bobby Lee)’ ■ 학력: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전기공학과 컴퓨터과학 이학석사 ■ 경력: 라이트코인(LTC) 창시자 활동 및 약력 찰리 리(Charlie Lee)는 라이트코인 창시자이며, 중국계 미국인으로 리치웨이(李启威, 리계위)라고 한다.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티씨씨(BTCC)의 대표인 바비 리(Bobby Lee, 李启元, 리계원)의 친동생이다. 구글(Google) 시절2007년, 구글에 입사 후 6년 간 재직하면서 구글 크롬 OS, 구글플레이 게임 플랫폼, 유튜브 모바일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2011년 초 우연히 실크로드(silkroad) 사이트에서 비트코인에 대해 알게된 후 연구하기 시작했다. (실크로드는 마약 밀거래를 하는 불법 인터넷 사이트로서, 거래자들의 신원을 노출하지 않기 위해 거래 대금으로 비트코인을 사용했다.) 찰리 리는 비트코인이 표방하는 ‘익명성’이라는 이념과 오픈 소스 기반의 암호화 기술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비트코인의 핵심 개발자인 마이크 헌(Mike Hearn)에게 연락하여 비트코인을 구매했다. 또한 채굴기를 구입해 비트코인을 채굴했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30달러(약 3만원) 정도였는데, 찰리 리는 “비트코인과 사랑에 빠졌고, 찰리 리는 비트코인을 접한 지 불과 1년도 되지 않아 새로운 암호화폐를 창시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는 구글에 재직하는 동안 틈틈이 시간을 내어 기존 비트코인을 개량한 새로운 암호화폐인 라이트코인을 개발했다. 라이트코인 개발찰리 리가 처음 개발한 암호화폐는 2011년 9월에 만든 페어브릭스(Fairbrix)였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실제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51% 공격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실패하게 되었다. 하지만 한달 뒤인 2011년 10월, […]
2019.07.12
개요 ■ 화폐기호 : BCH ■ 발행일 : 2017년 8월 1일 ■ 개발자 : 우지한 ■ 발행 방식 : PoW(Proof-of-Work, 작업증명) ■ 최대 발행량 : 21,000,000 BCH ■ 시가총액 : $61억6300만 달러₩7조2292억 (₩262조 4007억, 2019년 7월 코인마켓캡 기준) 상세설명 비트코인캐시는 자체 성장 및 확장을 위해 향상된 합의규정에 따라 탄생한 비트코인의 하드포크(체인 분리)이다. 2017년 8월 1일 비트코인의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기 위한 세그윗(SegWit)을 계기로 우지한 사장이 이끄는 비트메인(Bitmain), 비아비티씨(viaBTC) 등 중국의 채굴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 만든 암호화폐이다. SHA-256 해시 알고리즘 기반의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채굴한다. 기존 비트코인보다 훨씬 많은 거래내역을 하나의 블록 안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수수료와 빠른 승인 속도로 네트워크를 확장하며 비교적 빠르게 자리를 잡아 현재 암호화폐 시장 내 5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개발진 Bitmain의 우지한을 중심으로 진행된 비트코인 하드포크를 통해 생성 작동원리 사토시 나카모토가 처음 비트코인을 만들 때 10분에 1번씩 1MB 용량의 블록이 생성되도록 설계했는데, 계산해 보면 초당 7건 정도의 거래가 처리된다.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거래하기 시작하면서 초당 7건이라는 처리 속도는 턱없이 느린 수준이 되었다.결국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비트코인 네트워크 용량 증가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자 수수료는 크게 높아졌고, 비트코인을 신뢰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새로운 코인에 대한 갈망이 높아졌다. 세그윗(Segwit)2015년 후반 비트코인 코어 개발자인 Peter Wuille는 세그윗을 제안했다. 기존 비트코인은 블록 안에 모든 기록과 정보를 다 저장해두고 있는데, […]
2019.07.12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개요 ■ 명칭: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 ■ 유형: 정부간 국제기구 ■ 설립일: 1989년, G7합의로 설립 ■ 본사: 프랑스 파리 ■ 설립 목적: UN협약 및 안보리 결의와 관련된 금융조치(Financial Action)의 이행을 위한 행동기구(Task Force)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정부 간 국제기구로서, 자금세탁과 테러분자금융에 대항하기 위한 국가 및 국제적 수준의 정책개발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구는 모든 영역에 있어서 국가의 입법 및 규제개혁을 일으킬 수 있는 데 필요한 정치적 의지를 창출하기 위해 일하는 정책결정기구이다. 회원 구성 및 가입현황 정회원(36개국+EC, GCC 2개 기구), 준회원(FATF 산하의 9개 지역기구), 옵저버(IMF, WB, UN 등 28개 국제기구)로 구성되고, FATF 산하 9개 지역기구를 통해 사실상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를 관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98년 아태지역기구(APG)에, 2009년 10월에 FATF에 정회원으로 가입하였고 국제기준에 해당하는 수준의 자금세탁방지 제도를 갖추어 2015~2016년에 의장국을 수임했다. 당시 FATF 총회(’16년 6월, 부산)에서 회원국 만장일치로 승인된 FIU-FATF(OECD)-부산시 3자간 양해각서(MOU)에 근거해 2016년 9월 20일, FATF 산하 교육연구기관 FATF TREIN을 부산에 설립했다. 연혁 연혁에 대한 설명 주요 활동 및 이슈 자금세탁방지 제도 전파 및 금융환경에 대한 인식개선 활동 자금세탁방지(불법 돈세탁)를 근절하기 위해 여러 나라를 돌며 금융환경에 대한 인식개선 활동 FATF 회원국의 권고 이행상황 감시 활동 FATF 회원국은 각 나라의 금융환경에 대한 엄격한 분석절차를 거쳐 회원국의 자격을 부여받는다. 회원국으로 선정된 후에도 금융선진국으로서 FATF의 권고사항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감시하고 평가한다. 자금세탁의 추세 및 […]
2019.07.11
‘인큐베이션 시스템’이란 사내 직원들로부터 신규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실행될 수 있도록 회사가 지원하는 신규사업개발시스템을 말한다. 미숙아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인큐베이션에서 일정 기간 보육하듯 사원들의 사업 아이디어가 실행될 수 있도록 회사가 적극적으로 인력 및 자금 등을 공급하고 운영을 지원한다. 지원을 받는 사내 기업가에게 광범위한 권한이 부여되므로 신규사업개발과 장래 경영층 육성에 모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2019.07.11
‘Bank’와 ‘Run’의 합성어이며 은행의 대규모 인출사태를 말한다. 예금주들이 은행에 돈을 인출하기 위해 몰려드는 현상으로, 은행의 자금 유동성 등에 문제가 생겨 예금주들이 머너 돈을 찾으려고 뛰어가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이러한 뱅크런에 대비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법’을 통해 예금자들의 은행 파산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고 있다. ※ 예금자보호법이란?예금주에게 은행이 파산해 자신의 돈을 돌려받지 못하더라도 5,000만원 한도 내에서는 보장해주는 제도이다.
2019.07.09
개요 ■ 화폐기호 : ETH ■ 발행일 : 2015년 7월 30일 ■ 개발자 : 비탈릭 부테린 ■ 발행 방식 : PoW Proof-of-Work, 작업증명) ■ 최대 발행량 : 무제한 ■ 시가총액 : $305억 3748만 달러, ₩36조 647억원 (2019년 7월 코인마켓캡 기준) 상세설명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든 가장 대표적인 알트코인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에 사용된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에 화폐 거래 기록뿐 아니라 계약서 등의 추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 세계 수많은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을 만들고, 이 플랫폼을 이용하여 SNS, 이메일, 전자투표 등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을 창안했다. 이더리움은 C++, 자바, 파이썬, GO 등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 개발진 특징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비탈릭 부테린은 비트코인에 사용된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에 화폐 거래 기록 뿐 아니라 계약서 등의 추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구현했다. 이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플랫폼(Platform)이더리움은 다른 탈중앙 분산 애플리케이션인 디앱(DApp)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개발자는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 다양한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디앱은 국가에서 직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각 사물 그리고 수많은 주체들과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여 자동화된 경제 생활도 […]
2019.07.04
개요 ■ 화폐기호 : BTC ■ 발행일 : 2009년 1월 3일 ■ 개발자 : 사토시 나카모토 ■ 발행 방식 : PoW(Proof-of-Work, 작업증명) ■ 최대 발행량 : 21,000,000 BTC ■ 시가총액 : $2227억 5108만 달러(₩262조 4007억, 2019년 7월 코인마켓캡 기준) 상세설명 발행주체가 없는 화폐, 비트코인 비트코인(Bitcoin)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암호화폐다.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가명의 사람이 C++ 언어로 개발했다. SHA-256 해시 알고리즘 기반의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채굴한다.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2019년 7월 기준으로 262조이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개발진 비트코인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만든 암호화폐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신원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사토시 나카모토에게 최초로 비트코인을 송금받은 할 피니(Hal Finney)가 사실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증명되지 않은 채 2014년 루게릭 병으로 사망했다. 또한, 2016년 호주 출신의 기업가인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 (Craig Steven Wright)가 스스로 자신이 사토시라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작동원리 P2P Network 정부나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 개인 간(P2P) 직접 결제 하는 것을 말한다. 비트코인은 거래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수학 문제인 해시(hash)를 구하여 채굴하는 작업증명(PoW)이라는 방식으로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화폐와는 달리 최대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합의 알고리즘(PoW) P2P 네트워크와 같은 분산 네트워크에서 합의를 형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즉, 블록체인 상에서의 의사결정이며 어떤 블록을 진짜 블록으로 인정할 것인가에 대한 합의이다. 정확한 정보를 판단하고 공유하기 […]
2019.07.04
Flippening(플리프닝)은 이더리움(ETH)이 비트코인(BTC)을 뛰어넘는 것을 말한다.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이 비트코인을 제치는 현상이다.
2019.07.03
람보(Lambo)는 ‘람보르기니’를 의미한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농담으로 주고받는 신조어로 ‘암호화폐 부자가 되면 고급 자동차 람보르기니를 살 수 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19.07.03
아직 출시되지 않은 가상의 제품을 의미한다. ‘증기 제품’이라고 하며 사용자에게 지금 당장은 할 수 없는 일이 미래에는 가능하다는 환상을 심어준 뒤, 당장 손쉽게 경쟁업체의 제품을 사지 못하도록 막는 효과가 있다.
2019.07.03
단어 Wrecked의 오타 형태로 게임에서 처음 사용됐다. ‘난파된, 만신창이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투자자가 암호화폐의 가격 하락으로 돈을 모두 잃은 상황 등에서 쓰인다. 간단히 말해 “망한” 상태를 말한다.
2019.07.03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금융서비스의 변화로는 모바일, SNS, 빅 데이터 등 새로운 IT기술 등을 활용하여 기존과 차별화된 기술 기반 금융서비스 혁신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모바일 뱅킹과 앱 카드가 대표적이다. 핀테크의 핵심은 기술을 통해 기존의 금융기관이 제공하지 못했던 부분을 채워 주고 편의성 증대, 비용 절감, 리스크 분산, 기대 수익 증가 등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주는 데 있다. 핀테크 기능에 따른 분류 • 결제 및 송금: 지급 결제(payments), 송금(remittances) • 대출 및 자금 조달: 대출(lending), 자본 조달(equity financing),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소비자 금융(consumer banking) • 자산 관리: 개인 자산 관리(personal finance), 개인 투자(retail investments), 기관 투자(institutional investments) •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 도구(business tools), 금융 조사(financial research), 금융 인프라(banking infrastructure) 핀테크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분류 • 지급 결제(payments): 간편하고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수료 부과 • 데이터 분석(data and analytics): 개인 또는 기업 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며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 금융 소프트웨어 시장(financial software market):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금융 업무 및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 제공 • 플랫폼(platforms):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거래 기반 제공
2019.07.02
개발자들이 하나의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여 독립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경우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고, 통째로 복사하는 것이 허용되는 라이선스를 따르기 때문에, 원 저작자의 허가 없이 포크를 통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다. 해당 용어는 14세기 초부터 “여러 갈래로 나누고 각자의 길을 가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왔다.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이 낱말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그 자신을 2개의 (거의) 동일한 사본으로 나뉘게 하여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케 한다는 의미에서 시스템 호출을 포크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포크(Fork)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 포크, 프로젝트 포크(project fork) 라고 부른다.
2019.07.02
개요 ■ 이름: 창 펑 자오 ■ 국적: 중국, 장쑤성 ■ 나이: 1977년 출생 ■ 학력: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 대학교 컴퓨터 과학 전공 ■ 경력: 現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 대표 활동 및 약력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의 대표이자 바이낸스코인(Binance Coin)의 창시자 영어 이니셜을 따서 CZ라고도 부르며, 중국어 이름은 자오 창 펑(趙長鵬, 조장붕)이다. 창펑 자오는 캐나다 국적의 중국 화교 출신으로 어린 시절 아버지가 정치적 이유로 중국에서 추방되어 캐나다로 이민을 갔으며,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 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했다. 주식거래 시스템 개발2003년, 대학 졸업 후, 일본 도쿄주식거래소에서 주문거래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후 블룸버그 트레이드북(Bloomberg Tradebook)에서 선물 거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2005년, 중국 상하이에서 주식거래시스템 회사 퓨전시스템(Fusion Systems) 설립. 주식 거래 중개인에게 초단타 매매를 위한 빠른 거래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공했다. 암호화폐 관심, 블록체인인포(Blockchain.info)에서 개발책임자로 재직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를 설립한 바비 리(Bobby Lee)로부터 비트코인에 대해 들은 후, 비트코인에 투자하며 관련 행보를 이어갔다.암호화폐 전자지갑 개발업체인 블록체인인포(Blockchain.info)에서 개발책임자로 일하면서, API를 개발하고 아시아 지역에 회사를 홍보하는 역할을 했다. 오케이코인(OKCoin) 거래소 기술이사(CTO)로 근무 2014년, 오케이코인(OKCoin) 거래소의 기술이사(CTO)로 1년동안 근무하며 오케이코인 기술팀을 관리하고 국제시장 개척을 주도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ace)설립, 바이낸스코인(BNB) 개발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 설립, 바이낸스코인(BNB) 개발2017년, 중국 홍콩에 바이낸스를 설립하여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시켰다. [주요 약력] -1977년, 중국 장쑤성 출생 -1980년 말, 캐나다 벤쿠버 이민 -캐나다 몬트리올 […]
2019.06.21
[중국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 비티씨씨(BTCC) 창업, 현 비트코인재단 이사회 멤버로 활동 중] [주요 약력] -1998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계산기공학 이공계 석사(M.S.) 졸업-1996년, IBM에서 소프트웨어 리서치 엔지니어-1997년, Microsoft사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1998년, 실리콘-스파이스(Silicon-Spice)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1998년, Yahoo!에서 수석 엔지니어링 매니저-2007년, EMC(China Center of Excellence)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총감(2년 5개월)-2009년, BestTV New Media, Shanghai Media Group(SMG)에서 기술총괄(CTO) 및 상무(SVP)-2011년, 월마트(Walmart, China e-Commerce)에서 기술부사장-2011년, Stanford Club of Shanghai에서 재무담당이사-2013년, BTC China 창립자 및 최고경영자-2014년~ 현재, 비트코인재단(Bitcoin Foundation) 이사회 멤버로 활동 중
2019.06.20
표면적 뜻은 달로 간다는 뜻이지만 코인 시장에서는 로켓이 달로 가는 것처럼, 가격이 치솟기를 바람에서 사용하는 용어다. 주로 자신이 구입한 코인과 함께 투더문을 외친다. ex) 비트코인 투더문!
2019.06.07
주식, 지수, 선물 채권 등의 투자상품 정보와 다양한 암호화폐의 차트를 지원해 많은 사람들에게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암호화폐 관련 사이트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com)는 다양한 투자와 관련된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있고, 본인의 투자 노하우를 공개해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트레이딩뷰 바로가기
2019.06.07
경제학적인 용어로 디커플링(Decoupling)은 국가와 국가, 또는 한 국가와 세계의 경기 등이 같은 흐름을 보이지 않고 다르게 흘러가는 ‘탈동조화’ 현상을 의미한다. 보편적인 흐름과 관계없는, 독자적인 움직임을 뜻하는 ‘디커플링’ 이란 용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해선, 연관성이 있는 코인이지만 서로 반대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 한 코인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코인의 가격은 떨어지는 현상, 또는 특정 코인이 오르거나 내릴때 이와는 다르게 움직이는 코인을 뜻한다. 개별 코인의 펌핑이나, 호재 발생시 이런 디커플링이 발생된다. 반대말로는 커플링(Coupling)이 있다.
2019.06.05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UTXO는 Unspent Transaction Output(소비되지 않은 거래 출력값)의 약어로, 암호화폐를 채굴했을 때 생성되는 최초의 덩어리이다. 아직 거래에 사용되지 않은 채굴 당시의 비트코인 덩어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미사용 트랜잭션 출력값’ 또는 ‘미지출 거래 출력’이라고도 한다.
2019.06.05
CFTC(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란 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의 약자로 미국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각종 선물에 대한 규제감독기관을 말한다. CFTC의 주요 권한으로는 선물거래소의 등록 및 인가, 상품상장의 승인, FCM(선물중개회사)이나 FB(선물브로커)의 등록 및 인가, 거래소 규정의 인가, 트레이더와 투자자 간의 이의 중재, 비상조치권 등이 있다.
2019.06.05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란 영문명으로는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이라고 하며, 기업이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수립ㆍ관리ㆍ운영하는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인증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기대효과 정보보호 위험관리를 통한 비즈니스 안정성 제고 윤리 및 투명 경영을 위한 정보보호 법적 준거성 확보 침해사고, 집단소송 등에 따른 사회 · 경제적 피해 최소화 인증 취득시 정보보호 대외 이미지 및 신뢰도 향상
2019.06.04
IBM이 만든 ‘푸드 트러스트(Food Trus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식품의 유통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식품의 생산부터 보관, 배송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추적하여 유통 단계에서 생길 수 있는 질병 확산을 막고 유통 과정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겠다는 목표로 만들어졌다.
2019.06.04
로우 코드 플랫폼이란, 핸드 코딩(hand coding)을 최소화 한 상태에서 빠른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딜리버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코딩 방식이다. 이 플랫폼은 흔히 고객의 정보를 처리하는 ‘참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된다.
2019.06.03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