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3
25
페이팔(Paypal)과 비자(VISA)로 암호화폐 결제시대를 연다
3월 30일 페이팔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시, 라이트코인등의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미국에서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29일, 비자(VISA)의 CEO인 알켈리(Al Lelly)씨는 비자의 결제네트워크에 암호화폐의 하나인 스테이블코인 USDC를 추가할 것이며 향후 지원될 암호화폐가 확장되어 갈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해외 어떤 온라인 구매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결제서비스 제공회사인 페이팔과 비자의 이번 발표는 향후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가 실물경제에 관여되는 정도를 빠른 속도록 높여갈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이미 비자는 암호화폐 서비스 플랫폼인 크립토닷컴과 암호화폐 깁나 결제카드를 시범사업으로 진행한바 있다. 대표적인 미국의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도 비자와 함께 코인베이스 직불카드를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비자를 포함한 대부분의 암호화폐 결제서비스가 은행계좌와 암호화폐계좌가 연동이 된 상태에서 암호화폐를 일단 법정화폐로 환전을 하여 법정화폐로 최종적인 결제가 완료되는 흐름이었다면, 이번 비자의 USDC의 사용은 법정화폐로의 환전의 과정없이 USDC를 비자가 직접 수령하여 이것을 보관 금고에 맡긴다는 새로운 방식이다. 비자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에 공식적으로 암호화폐를 채용한 것은 비자가 그동안 벌여왔던 부분적인 시도들이 이제 본격화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투자자산으로써 이제 일정정도 제도권내에서도 인정을 받아감에 따라 이를 결제시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근거를 얻었다고 보인다.이번 비자의 결정은 관련 경쟁 타사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이 서비스가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 된다면 암호화폐의 결제서비스는 향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1.04.01
보라토큰(Bora) 카카오 클레이튼의 도약과 함께 급성장중
코인마켓갭에 따르면 전체 암호화폐의 시가총액 순위에 오른 국내 암호화폐는 다음과 같다. 13위 Klaytn(Klay), 18위 Terra (luna), 64위 ICON (ICX) 68위,152 BORA(BORA) 최근 카카오의 클레이튼 (Klaytn)의 NFT 마켓 오픈씨(Opensea) 협업 발표와 함께 클레이(Klay)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두나무와 카카오게임즈로부터 약 20억원의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게임계열 암호화폐인 보라코인 (보라토큰)의 성장이 순조롭다. 지난달 19일 보라토큰의 개발사인 (주)웨이투빗은 ” 카카오게임즈가 웨이투빗의 전체 지분 중 45.8%를 확보”했음을 공시한 바 있다. 보라토큰의 현재 가격은 업비트 기준 447원으로 불과 1개월전 150~150원대의 가격에 비해 3배가까운 상승을 만들어냈다. 최근 한국발 코인의 선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Terra, Klaytn 그리고 한때 글로벌 시가총액 10위권을 유지했던 ICON까지 큰 폭으로 시가총액을 늘리며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 암호화폐는 테라(Terra)와 클레이튼(Klaytn) 그리고 ICON이 선두권을 형성하고 시장을 이끄는 가운데, BORA등의 토큰의 선전도 이어지며 암호화폐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2021.03.31
카카오 클레이튼(Klaytn) 뜬다. NFT 시장 ‘오픈씨(Open sea)와 손잡자 20% 급등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약사인 그라우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리이튼 (Klaytn)이 오늘 코인마켓캡 기준 전일대비 +17% 급등하여 4.0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클레이튼은 오늘 글로벌 NFT 마켓 ‘오픈씨 (Opensea)’와 기술적 통합을 통해 상반기 클레이튼을 통해 NFT (Non-Fungible Tokens) 거래를 지원하게 됬다고 밝혔다. NFT란 대체불가토큰을 의미하며, 디지털 파일 및 디지털 자산을 복제가 불가능 한 방식으로 블록체인화 하여 소유권을 탈중앙화한다. 대체불가능성이란 기존 암호화폐 혹은 동일한 프로토콜의 블록체인안에서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유일성을 보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로써 디지털자산의 소유권을 분명히 할 수 있으며 자산의 거래에 활용할 수 있다. 클리이튼기반으로 발행된 NFT는 오픈씨를 통해 조회와 거래가 가능해지며 클레이튼은 창작자가 저렴한 수수료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클립파트너스’라는 토큰발행 및 관리 툴을 제공하고 발행을 원하는 외부기업은 그라운드X와 사전협의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2021.03.29
널뛰기를 지속하던 비트코인의 가격은 5만5천달러 전후에서 숨 고르기에 진입한 듯 하다.2021년3월29일 오후 12시4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코인마켓캡 기준 55,652달러를 기록하며 횡보하고 있다.전체 거래량은 -7.6%로 상당폭 주춤한 가운데, 특히 선물거래등의 파생상품 거래소의 거래량은 바이낸스 (Binance) -11%, 후오비 (Huobi) -13.18% 등으로 큰 폭으로 축소되었다. 포지션 상황으로도 전체적인 균형은 숏(Sell)이 우위에 놓여있다. 파생상품 거래소의 거래량의 축소는 고 위험도 투자자의 방향 예측이 소극적으로 돌아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적인 추세의 배경에는 당분간 뚜렷한 단기 상승 호재가 발견되지 않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상승의 추세가 달러화의 가치에 대한 제고로 이어지게 되고 이러한 경향이 전반적으로 비트코인의 대안투자처로서의 매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경계감이 자리하고 있다고 보인다. 미국의 달러 금리 인상에 대해 주목이 쏠리는 가운데, 그동안 달러화의 가치하락에 따른 반사이익을 비트코인이 받고 있었던 상황이 반전될 가능성도 점쳐진다.기관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나 아직 충분한 기관참여로 가격의 유동성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는 없는 만큼 비트코인의 단기 가격상승에 대해서 긍정적인 전망이 많지 않는 상황이다. 지난주 초부터의 비트코인은 약세장을 거치며 한때 51,000달러 수준까지 가격을 떨궜다. 이후 주말을 거치며 다시 55,000달러를 회복한 바 있다. 이러한 가격 동향은 이더리움 및 주요 암호화폐도 유사하여 전체 시장이 비트코인의 추세에 동조하는 현상이 계속되었다. 여전히 장기전망에 있어서 비트코인의 가격목표를 여전히 10만달러 수준까지 예측하는 강세론자의 시나리오 역시 상당한 지지를 얻고 있는 가운데, 달러화의 금리 변동으로 인한 추세의 변화가 발생할지 시장은 당분간 관망하며 소강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이 […]
2021.03.29
널 뛰는 암호화폐 가격…전체 시가총액 6.76%감소, 거래량 22%증가
불과 하루 전 엘런머스크의 트윗과 함께 관련기사 5%가까이 뛰어 오르며 5만6천달러 수준을 회복했던 비트코인은 일변하여 오늘 -5.9%로 다시 5만2천 달러 수준으로 되 돌아왔다. 2021년 3월25일 현재 비트코인은 52,976달러로 7일간 -9.99%, 24시간 -5.88%를 기록하고 있다. 이더리움 역시 -6.41%로 비교적 큰 폭 하락을 했으며, 1,608.0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코인 (BNB)와 기타 암호화폐 대부분이 5%이상의 하락폭을 보이고 있으며 상위권 암호화폐 중에는 Uniswap (UNI)과 THETA가 두자리수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전체 순위 19위에 위차한 Filecoin(FIL)만이 홀로 +13.73%로 선전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으로는 21%가 증가하며 어제보다 상당히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증가한 거래량의 대부분은 파생상품 거래소의 선물 및 영구계약등으로 공매도등의 포지션 물량으로 보인다. 이는 레버리지를 활용한 공매도 등의 거래가 활발하다는 의미로 향후 가격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고 판단된다. 대표적인 선물 거래소인 바이낸스, 후오비, OKEx등 거래소 모두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바이낸스 선물거래소의 경우 +25.06%, 후오비글로벌 47.95%, 비트맥스 (BitMEX) 63.97%로 대부분의 거래소가 전일대비 20~60%의 큰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등 암호화폐의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널 뛰기를 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전문가들이 5만2천달러의 지지선의 유지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고가를 기록한 이래 조정장을 거치며 향후 방향을 놓고 힘겨루기가 지속되며 호재와 악재에 따라 5만2천 ~5만6천 달러 사이를 가파르게 오가고 있다. 5만2천 달러의 지지선이 무너지게 되면 또다시 상당폭의 하락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널 뛰기 하는 비트코인의 가격은 당분간 관망할 필요가 있어 보이며, 섣부른 투자예측이 […]
2021.03.25
소강국면이던 비트코인, 엘런 머스크의 트윗으로 반등… 5만6천달러 회복
3월24일 17:20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 대비 +4.65% 반등하여 56,31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주간 -0.4%로 제자리 걸음을 지속하던 비트코인은 오늘 오랫만에 반등하며 5만6천 달러 고지를 회복했다. 그외 주요 암호화폐중에는 THETA가 오늘 하루 26%로 크게 오르며 지난 7일간 누적 상승율이 100%를 넘어섰다. 오랫만에 의미있는 상승을 보이고 있는 비트코인은 엘런머스크의 관련 트윗이 바표된 이후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오늘 16시경 엘런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한 비트코인은 법정화폐로 교환하지 않고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뒤이어 “미국이외의 지역에서도 비트코인으로 지불이 가능할 것” 이며, “비트코인으로 지금 테슬라를 구매할 수 있다”고 연이어 트위터를 쏟아내었다. 소강국면이던 비트코인과 암호화페 장세에 구세주가 되어 또다시 불을 붙인 엘런머스크의 트윗은 비트코인 가격회복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은 현재 +2.49%로 1,718.23달러, 바이낸스코인(BNB)는 +1.47%로 260.24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상위 10위권 암호화폐 중에는 유일하게 UNISWAP (UNI)만이 -5.86%로 상당폭 가격을 떨궜다.
2021.03.24
3월22일 오후 3시 30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BTC의 가격은 58,879달러로, 24시간 동안 전일 대비 1.19%의 상승하였으며 7일간 누적으로는 -3.15%로 약세장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cryptometer.io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일일 BTC 파생상품 볼륨은 Sell (Short) 50.73% : 49.27% (Long) Buy 로, 숏포지션이 약간의 우위에 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1.18% 증가하였으나, 24시간 암호화폐 총 거래량은 -15.17%로 상당폭 거래량이 감소하며 거래량을 기준으로 비교적 소극적인 거래 패턴이 지속되고 있다. 코인마켓갭 기준 마진거래소 (파생상품거래소)의 순위 (거래량 기준) 1위 Binance 2위 Huobi Global3위 OKEx4위 Bybit5위 FTX 코인게코 기준 마진거래소 (파생상품거래소)의 순위 (미체결약정 기준)1위 Binance2위 Huobi Futures3위 FTX4위 Bybit5위 OKEx의 순으로 집계되었다.BitMEX는 CMC기준 9위, Coingecko기준 6위에 위치하였다. 거래소별 미체결약정은 큰증감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거래량은 지난 7주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2021.03.22
미 연준 ‘금리인상 없다’ 발표에 암호화폐 상승으로 화답
미국의 연방준비 은행의 제롬 파월 의장은 3월18일, 2023년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고 발표하여 그간 우려되었던 긴축재정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그러자 이날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는 역대 최고가인 3만 3015.37포인트를 기록하며 안도감이 크게 반영되었다. 한편 비트코인의 가격도 이에 화답하듯 4.5% 이상 상승하며, 오전 10시 현재 59,068 달러로 6만달러를 다시 눈앞에 두게 되었다. 어제에 이어 상위 암호화폐를 살펴보면 카르다노 (ADA)가 여전히 강세를 지속하며 바이낸스를 밀어내고 시총 3위 자리를 차지한데 이어 오늘도 두자릿수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10.78$). 최근 주목을 끌었던 Terra (LUNA)는 오늘 -6.25%로 하락하며 상승세를 일단 마감했으나 여전히 7일 통산 상승치는 무려 +66%를 유지하고 있다.Terra는 어제 Anchor protocol을 런칭하며 새로운 디파이 서비스를 발표한 바 있다. 이 서비스는 암호화폐 예치시 최대 20%의 고정형 APY를 제공하며 유사 서비스의 평균치를 월등히 뛰어넘는 운영소득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2021.03.18
비트코인 하락후 횡보, 5만6,264달러…숨고르기 중에 카르다노 +18.56%로 4위 부상
현재 시각,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의 가격은 대부분 횡보를 나타내며 숨고르기 중이다. 비트코인은 1.76%상승, 이더리움 0.16%상승, 바이낸스코인이 1.27% 상승으로 대부분 가격의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Cardano (ADA)가 지난 24시간동안 18.64%가 올라 시가총액 베이스로 Tether (USDT)를 누르고 시가총액 기준 4위로 부상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한편, 한국발 암호화폐 Terra (LUNA)의 상승폭이 주목을 끌고 있다. 루나(LUNA)는 지난 24시간동안 무려 18.69%의 가격 상승을 보였는데, 7일 기준으로 무려 69,50%의 상승폭이다.전체 시가총액 랭킹으로 14위에 오르며, Dogecoin (DOGE)와 THETA등을 제쳤다. 테라는 전 티켓몬스터 창업자인 신형성 대표가 창립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현재 국내발 프로젝트로 가장 성공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021.03.17
비트코인 하락 7.4%, 5만5천 달러 도돌이표, 지금이 매수 기회?
비트코인이 최고가를 기록하고 불과 하루 만에 다시 5만5천달러선으로 되돌아왔다. 현재시각 9시 가격은 56,052달러를 기록하며 7.2%의 하락폭으로 비교적 큰 조정을 맞이하고 있다. 비트코인 -7.2%, 이더리움 -4.4%, 바이낸스코인(BNB) 4.8%로 상위 3코인은 모두 하락으로 반전했다.특히 이더리움은 오늘 하락으로 인해 1주간의 상승폭을 모두 내놓고 0.31%상승율로 떨어졌다. 이날 하락은 비트코인의 급등에 따라 과열의 조정으로 볼 수 있다. 연일 계속되던 뜨거운 상승장은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후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Bybt.com의 데이터에 의하면 현재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는 숏(매도) 우위가 지속되고 있으며, 바이낸스의 경우 48.17 : 51:83으로 근소하게 숏이 우위를 보이며 오늘 하루 약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미국 3대 증시는 상승 마감을 했고, 블록체인의 테마주는 2.93% 상승하는 등 전반적인 시장 전망에 특별한 불안 요소는 없는 것으로 보여, 가격 조정 국면이 끝나면 가격 그래프는 다시 반등의 기회를 엿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조정이 끝나고 다시 추세적인 상승 국면에 도달했을 때 다시 최고가인 61,683달러에 도전이 시작된다고 했을 때, 이번 조정장은 매수 타이밍을 잡는 개인에게 좋은 시기가 될 수 있다.전체적인 관련 시장이 여전히 긍정적이고, 비트코인에 관심을 가지는 기관과 개인은 계속 증가하고 있어, 이번 조정장이 장시간 계속될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2021.03.16
비트코인 6만1천달러도 가볍게 돌파, 7000만원 시대 진입
2012년 3월 14일 오전 10시 현재, 비트코인의 금일 고가는 61,597,92달러 (코인마켓캡)을 기록하여, 하루 만에 1,000달러분을 끌어올려 최고가를 다시 경신했다. 이로써, 비트코인은 1주일간 총 24.23% 상승한 셈으로 놀라운 한 주를 보냈다. 이더리움 역시 오늘 8.04%상승, 바이낸스코인 (BNB)가 4.05% 상승하며 7주간으로 보면 19.58%, 24.47%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상위 3개 코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바이낸스코인)은 확실한 3Top의 위치를 지키며 거의 유사한 형태의 상승 그래프를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거침없는 암호화폐 가치 상승과 대장주인 비트코인의 최고가 경신의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거의 무제한으로 풀려왔던 달러와의 가치 하락에 따른 상대적인 가치 상승분이 반영되었을 수 있고, 향후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의 슈퍼부양책이 통과되고 시중 금리가 상승기미를 보이는 등 적어도 2%를 넘어서는 인플레이션이 기대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이러한 인플레이션은 주요 대체자산으로 자리 잡은 비트코인의 상대적인 가치가 상승하게 되는 결과가 될 전망이다. 기관의 비트코인 투자와 매집 역시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비트코인의 가격이 일부 전망처럼 연말 10만 달러를 달성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1.03.14
3월13일, 비트코인이 지난 2월 22일에 기록한 최고가 58,287달러를 넘어 60,012.78달러 (코인마켓갭)를 기록 오늘 비트코인은 현재까지 5.25% 상승하여 6만달러를 돌파한 뒤, 59,83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전고점이자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던 2월 22일에서 20일만에 또다시 최고가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의 거래량 역시 전일 대비, 12,53% 상승하였다. 아울러 전체 암호화폐의 총 거래량 역시 +13.86%로 크게 증가한 가운데, 이더리움이 19.58%, 바이낸스코인(BNB)가 무려 24.47% 상승하여, 상위 3개 암호화폐는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2021.03.13
S&P500, 다우지수, 비트코인 함께 사상 최고가 간다. 현재 +2.3%로 5만7600달러
미국의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크게 감소, 1조9000억 달러의 슈퍼부양책이 의회를 통과하면서 경기회복의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강해진 가운데 11일(현지시간) S&P 500 지수와 다우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한편 한국시각 12일 현재 비트코인은 9시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5만7600달러 수준으로 약 2.4% 상승하여 지난 2월 22일 기록했던 역대 최고가 5만8287달러에 거의 근접했다. 비트코인은 현재까지 2.4% 상승하여 일주일 사이 20.11%라는 큰 상승율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미국증시와 비트코인의 가격은 동조화 현상이 눈에 띄는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등의 테크주가 강세를 보였고, S&P는 지난 2월 12일 기록한 종가기준 사상최고가인 3,934.83을 넘어섰다. 다우지수는 4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 역시 2월12일 지난 고가에 5%차로 육박하고 있다.
2021.03.12
불과 10개월 뒤로 다가온 암호화폐 세금 총정리 2020년 11월 30일 국회 기획 재정 위원회는 전체 회의를 통해 세법 개정안을 의결, 2021년 10월 1일 양도 분부터 적용 예정이던 암호화폐 (가상자산)의 과세를 3개월 연기하여, 2022년 1월부터 시작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이는 암호화폐의 과세의 입법과정에서 실제 거래소의 준비기간의 부족 등을 이유로 한국블록체인협회가 1년 3개월의 유예를 요청하는 등의 요구를 일부 받아들인 유예안이었다. 이날 법안은 시행을 3개월 유예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원안 그대로 통과되며, 함께 의결된 주식 양도소득세의 확대 방안과 비교하여 암호화폐(가상자산)에 대한 과세가 불평등하다는 불만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 법안이 시행되면 암호화폐의 소득은 비과세에 해당하는 250만원을 초과하는 분에 대해 20%의 세금이 발생한다. 주식의 경우 2023년부터 금융투자소득을 신설하고 주식, 펀드 등 금융투자 상품에서 발생한 소득중 연간 5000만원을 초과한 분에 대해서 과세를 하게 된다.주식의 경우 암호화폐 보다 훨씬 큰 5000만원까지 비과세의 혜택이 돌아가기 때문에, 암호화폐의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과세기준이 불평등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의 암호화폐의 가격 상승으로 다시 한번 많은 투자자들이 신규계좌를 개설하고 거래소를 이용하고 있고, 상당한 소득이 발생한 경우도 있다. 암호화폐 과세까지 불과 10개월을 남긴 지금, 투자자들은 향후 자신의 암호화폐 자산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서서히 고민해 봐야 할 시기가 되고 있다. 암호화폐 세금 어떻게 납부하는가? 암호화폐 세금은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으로 분류가 되어 개별과세가 된다. 암호화폐의 매매 차익에 대해 1년 통산하여 20%가 과세되는데, 납세 의무자는 가상자산 거래 […]
2021.03.11
심상치 않은 비트코인 상승세, 코인베이스 시총 1000억 달러 간다
암호화폐 시장의 대표적인 거래소로 볼 수 있는 코인베이스의 시가총액이 무려 10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기사가 보도된 바 있다. 이달 4일 나스닥 장외시장인 프라이빗 마켓에서 코인베이스의 주식은 주당 350달러선에서 거래되었고, 최고가는 375달러에 이르러 이 주가를 토대로 계산해 본다면 시가총액은 무려 1000억달러에 이를 수도 있다는 계산이다.
2021.03.10
비트코인 추가 상승 62,300,000원 터치, +3.36% (3월9일 20시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늘 62,300,000원을 기록하고 현재 시각 20시 9분 업비트 거래소 기준가 61,888,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마켓켑 (CMC)에 의하면 현재 시각 전일 대비 +8.9%의 상승을 유지, 54,227 USD의 가격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로써 7일간의 상승폭은 두자리 수인 10%를 넘어섰다.
이더리움(ETH) 역시 24시간 8%이상의 상승을 유지하는 중이며, 바이낸스 코인 (BNB) 역시 24시간 15.24%의 상승폭을 보이며, 시가총액 상위 코인은 테더(USDT)와 리플 (XRP)를 제외하고 모두 두 자리수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2021.03.09
3월 9일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소식 코인원 (Coinone) 원화마켓에 아튜브 (ATT) 상장아튜브 (ATT)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플랫폼으로 창작자가 콘텐츠 창작에 대한 투명한 보상을 받을 수 있고 팬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하고 해당 플랫폼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암호화폐*입금 가능시기 : 2021년 3월 9일(화) 오전 10시 (KST) 빗썸 (Bithumb) 국제 자금세탁 방지기구 (FATF)의 자금세탁 방지 (AML) 미이행 국가 거주자들에 대한 거래를 차단한다고 밝힘. 넴(XEM) 보유자 대상으로 심볼(XYM) 에어드랍 스냅샷 일정이 확정되어, 빗썸에서는 연기되었던 심볼(XYM) 에어드랍을 지원 시작. * XEM : XYM = 1 : 1, 에어드랍은 거래기여도에 따라 지급동시에 2021년 3월 10일 18:00 시부터 입출금 중지 페멕스 (Phemex) 글로벌 대회를 개최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상금풀은 45 BTC이며, 종목은 BTC/USD다. 팀전 상금풀 비중은 78%, 개인전 비중은 22%다. 등록 기간은 UTC 기준 3/10~3/23, 대회 기간은 3/24~4/6 코인베이스 (Coinbase)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의하면, 지난주 목요일 나스닥 프라이빗 마켓 경매에서 코인베이스의 청산가격이 주당 350달러에 거래되 900억 가치로 추산되었음 오케이이엑스 (OKEx) OKEx가 마켓 상황과 이용자 수요를 감안해 6/25 17시 EOS 옵션 계약 거래지원을 종료한다고 공지 포블게이트 (foblgate) 공시플랫폼 ‘쟁글’과 파트너십 체결, ‘쟁글’의 공시 데이트를 활용하기로.
2021.03.09
페이팔(Paypal),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Curv’ 인수합의 발표
미국시간 8일, 글로벌 결제회사 페이팔 (Paypal)은 암호화폐/디지털자산의 커스터디 기업인 ‘커브(Curv)’사를 인수하기 위한 교섭이 최종적으로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커브(Curv)’의 인수는 페이팔(Paypal)이 암호화폐/디지털 자산 관련사업을 가속,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 최종적으로 올해 6월까지 인수 작업을 마무리 할 것이라 말했다. 일부 보도에 의하면 페이팔이 ‘커브’를 인수하기 위한 교섭은 이번 달부터 라고 하며, 급속히 진전된 교섭의 결과로 인수액은 2억달러에서 최대 5억달러 (약 5,700억원)에 이를 것이라 한다. ‘커브(Curv)’는 이스라엘을 거점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안 관련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미 페이팔(Paypal)은 지난 해부터 암호화폐의 판매서비스의 제공과 결제의 도입을 발표한 바 있고, 해당 부서를 이미 발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커브(Curv)’는 이와 관련한 보안시스템과 암호화폐 관리의 월렛 시스템의 개발 업무를 맡을 것으로 보이며, 페이팔(Paypal)의 암호화폐 관련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페이팔의 임원 Jose Fernandez da Ponte는 이번 인수가 “모든 사람이 이용 가능한 금융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우리의 비젼을 실현하기 위한 Paypal의 투자활동의 일환”이며 “우리는 Curv의 기술과 기업가 정신, 기술에 대한 사고에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Curv의 CEO인 Itay Malinger를 비롯한 주요 임원은 이스라엘 출신으로 CEO Itay는 15년 이상 사이버 보안의 업무를 해왔으며 최근 아카마이(Akamai)의 보안 제품 이사로 재직한 바 있다. —이하 Curv사의 Paypal 인수에 관한 입장문 전문— PayPal to Acquire CurvMar 8, 2021 SAN JOSE, Calif., March 8, 2021 /PRNewswire/ — PayPal Holdings, Inc. (NASDAQ: PYPL) today announced that it has agreed to acquire […]
2021.03.09
3월9일 오전 비트코인 5만2천 달러 회복, 체인링크(LINK) 큰 폭 상승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체인링크(LINK)가 이끄는 상승세, UNI는 하락 전환 3월9일 오전 비트코인 5만2천 달러 회복한 가운데, 전날 대비 암호화폐 시장의 거래량 역시 17.93%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은 1조6천2백억 달러로 증가했다. 주요 암호화폐 중에서는 이더리움(ETH)의 강세가 지속적으로 눈에 띄는 가운데, 전날 대비 5.25%로 추가 상승하여 현재 1,83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지난주 대비 15%이상의 상승치로 주요 메이저 코인 중 이더리움의 상대적인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인다. 그 외, 시가총액 9위에 위치한 체인링크 (LINK)가 전날 대비 9.4%로 크게 상승하여 31.63달러로 거래되고 있으며, 반면 전날까지 큰 폭으로 상승하여 주간 25%이상의 상승폭을 보이던 유니스왑 (UNI)은 오늘 현재 -2.42%로 주춤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기타 10위권 밖에서는 엘런머스크의 관련 트윗이 이어지고 있는 도지코인 (DOGE)이 또다시 15.56% 급등하였고, THETA, Terra (LUNA) 등도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2021년 3월 9일 현재 뚜렷한 시장의 호재나 악재는 발생하지 않은 가운데 대부분의 암호화폐가 보합국면을 맞아 상대적으로 적은 변동성 장세가 유지되고 있다.
2021.03.09
홍콩상장사 Meitu BTC와 ETH 4,000만 달러 분 구매, ETH는 상장기업 최초
홍콩거래소에 상장된 중국기업 Meitu는 3월5일 비트코인 379개와 15,000개의 이더리움을 구매하여 재무자산화 하였다고 발표했다. Meitu그룹은 중국기업으로 스마트폰과 PC의 영상 및 동영상의 가공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사의 시가총액은 약 1,800억원 수준으로 계산된다. 이날 Meitu의 암호화폐 투자실시는 Meitu,Inc.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음의 상장사 차원에서의 구매는 중국등기의 상장기업에서는 첫사례이다. 특히 동사는 홍콩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나 본사가 중국에 위치하고 있어, 중국정부의 암호화폐 거래금지 정책이 영향이 주목된다. 동사의 CEO인 Cai씨는 과거 OKEx의 투자자로 알려져있다.
2021.03.08
3월2째주 비트코인 전날 대비 +5.14%, UNI +51.97% 폭등
횡보세를 보이는 암호화폐 시장은 2021년 3월 두째주, 8일(월) 현재 시각 9:18분, 전날 대비 +5.14%의 58,181,587원을 기록하며 상승세로 출발했다. 별다른 시장 호재는 없는 가운데, 글로벌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은 1조6천190억을 기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코인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에 이어 이더리움은 +4.96%로 1,965,876원.시가총액 기준 3위에 위치한 바이넌스코인 (BNB)sms +7.37% 오른 273,714원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 8위에 오른 유니스왑 (UNI)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전날 대비 무려 +20%시상 폭등하며 현재 38,374원에 거래되고 있다. 유니스왑 Uniswap은 24시간 거래량 기준 145%가 증가하였고, 6개월전의 가격 인 472원 대비 현재개 +8020%로 놀라운 속도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2021.03.08
글로벌 거래소 빙본 (Bingbon) 3월5일부터 한국어 서비스 1주년 이벤트
암호화폐 및 34종의 다양한 투자종목을 제공하는 글로벌 종합 투자플랫폼 빙본이 한국어 서비스 1주년을 기념하여 이벤트를 개최 최근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눈의 띄는 성장세를 자랑하는 글로벌 거래소 빙본 (Bingbon)이 한국 진출 1주년을 기념한 이벤트를 개최한다.빙본은 CMC(코인마켓캡) 파생상품 거래소 분야에서 10원에 오르는 중견 거래소로써 비교적 빠른 시간에 아시아 각국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거래소이다. <이하 보도자료 전문> Bingbon은 2021년 3월 5일(UTC + 8)부터 3 일간의 “입금 이벤트”를 시작합니다! 이벤트 기간 동안 첫 입금 하신 분들은 누구나 보너스 증정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이벤트 기간 : 2021 년 3 월 5 일 00 : 00 시 ~ 2021 년 3 월 8 일 23:59 시 (UTC + 8) 2021 년 3 월 5 일 01 : 00 시 ~ 2021 년 3 월 9 일 00:59 시 (한국 시간) 이벤트 규칙 : 이벤트 기간 동안 첫 입금 금액에 따라 해당 보너스 증정금이 지급됩니다! 첫 입금(USDT) 첫 입금(BTC) 첫 입금(ETH) 보너스증정금 사용 조건(거래액 = 원금 x 레버리지) 50 0.001 0.03 10 5000 200 0.004 0.13 50 20000 500 0.01 0.33 100 50000 1000 0.02 0.66 200 100000 5000 0.1 3.33 300 500000 10000 0.2 6.66 500 1000000 주의사항: 증정금 금액은 이벤트 기간 동안 첫 입금 토큰 종류 및 입금 금액에 따라 결정되며, 이벤트 […]
2021.03.05
제롬파월 연설후 암호화폐 시장 큰 하락, 47,000달러선 붕괴 BTC -7.43% (24h)
암호화폐 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3월5일 오전 10시 현재 CMC (코인마켓켑) 46,659달러를 기록하며 7%이상의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하락의 이유로는 미국 제롬파월 연준 의장의 금일 새벽 2시의 연설의 영향으로 보인다.이 연설은 암호화폐 업계 뿐 아니라 미국증시 등 금융업계 전체가 주목하던 바였다. 이날 파월의 연설은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는 수준에 그쳐 최근의 금리상승 압력 등 시장의 불안감에 대해 미흡하다는 분위기 이다. 이를 반영하듯, 4일(현지시각) 미국 증시는 하락으로 마감했으며, 다우지수는 1.11%, S&P500지수는 1.34%, 나스닥은 2.11% 하락으로 이날 거래를 마쳤다. 특히 테슬라는 4.86%의 비교적 큰폭으로 하락했다. 파월은 “통화정책을 변경하기 전에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며 기존의 통화정책의 변화가 당분간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시장이 걱정하는 금리의 빠른 상승에 대한 대비책에 대한 언금이 없어 시장은 연준의 입장이 모호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암호화폐 시장도 영향을 받은 듯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47,000달러의 지지선이 붕괴된 상황이다.
2021.03.05
인기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Tim Draper는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Netflix가 비트코인 투자대열에 참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테슬라의 비트코인 투자에 이어 다음은 어떤 대기업이 뒤를 이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이미 많은 언급이 되었던 아마존 (Amazon)은 물론 넷플릭스가 투자 대열에 참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Tim의 이 예측은 넷플릭스의 내부에서 나온 정보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넷플릭스의 공동 대표인 Reed Hastings가 매우 혁신적이며 넷플릭스의 경영권을 장악하고 있고 비트코인의 투자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동시에 아마존의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의 도입 역시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테슬라에 이어 넷플릭스, 아마존으로 미국의 간판 Tech 기업의 비트코인 투자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러한 예측이 가까운 시일 내에 현실화 된다면, 시장은 또 한번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이러한 기대감과 달리 예측이 빗나간 다면 시장은 다음 가격반등까지 다른 재료를 찾아야 하며 실망감으로 인한 투자심리의 퇴보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2021년 3월 5일 오전 0시 40분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은 CMC (코인마켓캡) 기준 -2.9%(24h)로 한화 55,538,593원을 기록하고 있다.
2021.03.04
블록체인 커뮤니티 메신저 서비스인 네스트리(Nestree), 빗썸 커스터디와 전략적 제휴 체결
블록체인 커뮤니티 메신져 서비스인 네스트리와 빗썸 커스터디(사명 ㈜볼트러스트)가 전략적 제휴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네스트리는 자사의 가상자산인 EGG 토큰과 이를 이용하는 파트너사들의 가상자산을 빗썸 커스터디를 통하여 관리한다. 빗썸 커스터디는 지난해 빗썸 코리아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며 사내 벤처로 설립되었으며, 이번달 정식 서비스 오픈을 기점으로 국내 가상자산 커스터디 사업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빗썸 커스터디는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통제된 절차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서비스로 ▲암호화 키 매니지먼트 솔루션(KMS) ▲멀티시그(Multi-signature) 기술 적용 ▲다중 인증체계 지원(Grade A~D단계) ▲고객신원확인(KYC)·자금세탁방지(AML) 적용 등 금융권 수준의 보안시스템을 구축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가상자산 관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네스트리는 빗썸 커스터디의 첫번째 수탁사로 커스터디 서비스를 이용할 예정이다. 빗썸 커스터디 서비스는 9월 서비스 정식 오픈 예정이며, 앞서 빗썸 커스터디는 네스트리 EGG를 활용하여 커스터디 서비스 보안성 테스트를 3개월간 진행하였고, 보안 전문업체를 통하여 안전성 검증에 통과했다. 네스트리는 블록체인 커뮤니티 서비스인 네스트리(NESTREE)를 개발, 운영 중인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네스트리 관계자는 “다양한 대기업과의 제휴 및 삼성 블록체인 월렛 지원 등을 통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블록체인으로 실사용 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실사용 하기 위한 가상자산의 안전한 보관 및 관리는 생태계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 이기 때문에, 네스트리의 가상 자산은 향후 다중화된 권한 위임과 철저한 내부 통제 절차를 거쳐 출금이 가능한 빗썸 커스터디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게 […]
2020.09.23
TRENDS
HOT WORDS
Sorry. No data so far.